2021년 6월,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가 시작되었습니다. 그리고 주택 매도 희망자들이 대거 자취를 감추었습니다. 정부는 다주택자 물량이 시장에 나오기를 바라면서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를 했다고 하였으나 실제 시장에서는 이와 정반대로 매물 부족 현상이 나타났습니다. 그리고 반대로 집을 사려는 매수 희망자들은 많아졌습니다. 매수 수요는 많고 매도 물량은 적으니, 가격은 계속 상승하고 있습니다. 다주택자의 입장에서, 양도세가 중과되면 집을 팔 이유가 없어집니다. 집값이 많이 올라 세금을 내도 차익이 크지 않기 때문에, 팔고 나면 다시 집을 사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때문에 보유세가 부담이 되어도 어떻게든 버티자는 기조가 생겼습니다. 다주택자들은 자녀에게 집을 증여하여 미래를 대비하며 버티고 1주택자들은 집값이 올..
내 자산을 남에게 파는 경우도 있지만, 증여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보통 부모-자식간, 부부간, 친족간 증여를 하는 것이 보편적입니다. 남에게 파는 경우에는 차익이 있기 때문에 그 차익에 대한 소득세가 발생하는데, 증여를 하는 경우에는 아무런 대가 없이 증여하기 때문에 차익이 없습니다. 이런 증여에 대해 부과하는 세금이 증여세 입니다. 증여세 증여세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국세청 증여세 정의에서) 타인(증여자)로부터 재산을 증여받은 경우에 그 재산을 증여받은자(수증자)가 부담하는 세금을 말합니다. 증여 직접/간접적인 방법으로 타인에게 무상으로 유/무형의 재산 또는 이익을 이전하는 경우 직접/간접적인 방법으로 타인에게 무상으로 타인의 가치를 증가시키는 것 증여세를 납부하는 사람 증여세는 기본적으로 증..
- Total
- Today
- Yesterday
- 인도명령
- 전월세상한제
- 주거급여
- 상가
- 확정일자
- 계약갱신청구권
- 오블완
- 재건축
- 사전청약
- 재산세
- 명도소송
- 재개발
- 조정대상지역
- 임대소득세
- 재산세 조회
- 전세사기 피해자
- 양도소득세
- 티스토리챌린지
- 어린이집 예방접종증명서 발급
- 양도소득세 비과세
- 특별보금자리론
- 전세보증금 반환보증보험
- 경매
- 전세사기
- 임대차3법
- 보금자리론
- 분양가상한제
- 안심전세앱
- 취득세
- 전세권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