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돈을 벌면 소득세를 내듯이, 부동산을 팔아서 수익이 생겼다면 양도소득세를 내야 합니다. 양도소득세에 대해 정리합니다. 1. 세금명 부동산 양도소득세 2. 세금내용 부동산을 매각했을 때, 부동산을 샀던 가격과 판 가격을 비교하여 수익이 있을 때 내는 세금입니다. 양도소득세는 국세로, 세무서에 납부하게 됩니다. 3. 세액 세금납부 대상이 되는 금액 부동산을 팔았을 때의 금액과 샀을 때 금액의 차익이 세액계산의 기준이 됩니다. 과세표준 기준금액에서 장기보유특별공제금액과 기본공제를 제한 금액이 과세표준이 됩니다 1세대 1주택 장기보유특별공제 최소 2년 거주했을 때부터 공제가 적용됩니다. 보유기간 4년 이내 5년 이내 6년 이내 7년 이내 8년 이내 9년 이내 10년 이내 10년 이상 보유공제 12% 16% 20..
분양권 거래 또는 부동산 활황기에는 부동산을 사는 사람이 파는 사람의 양도소득세를 부담하고 거래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매도자의 경우 1억의 차익이 발생해도 세금으로 몇천만원의 이익이 깍입니다. 이 매도자의 차익 1억을 보전해주면서 거래하기 위해 매수자가 양도소득세를 부담하는 것인데, 이를 '손피거래'라고 합니다. 세법 상으로는 매수자부담 양도소득세라고 합니다. 이 매수자부담 양도소득세는 불법이 아닌지, 어떻게 계산하는지, 주의할 것은 어떤 것인지 알아보겠습니다. 매수자부담 양도소득세란? 일반적으로 양도소득세는 매도자가 납부합니다 매수자부담 양도소득세는 매도자가 납부해야 하는 양도소득세를 매수자가 내는 것입니다 매수자부담 양도소득세는 불법? 매수자부담 양도소득세는 합법적인 방법입니다. 소득세법 ..
2021년 12월 8일부로 1세대 1주택 양도소득세 비과세 기준이 기존 9억원에서 12억원으로 변경되었습니다. 1. 어떻게 달라지나? 2021년 12월 8일 잔금을 치르거나 등기 이전을 한 주택을 기준으로 양도소득세 기준이 바뀝니다. 12월 8일 이전에 계약/중도금 입금을 한 상태라도 무관합니다. 1세대 1주택일 때 주택 거래 가격 12억원 미만인 경우 규제지역 내에서는 2년 거주, 2년 보유 요건을 만족하면 비규제지역 내에서는 2년 보유 요건을 만족하면 양도소득세 비과세를 받을 수 있습니다. 만약 1세대 1주택일 때 주택 거래 가격 12억원을 초과한 경우 규제지역 내에서는 2년 거주, 2년 보유 요건을 만족하면 비규제지역 내에서는 2년 보유 요건을 만족하면 12억원을 초과한 금액에 대하여 1세대 1주택..
더불어민주당이 8월 2일 발표한 소득세법 개정안이 통과된다면 2023년부터 양도소득세의 기준이 변경됩니다. 1세대 1주택의 보유, 거주 기간 계산방식 변경 1주택자 양도소득세 장기보유특별공제 비율 변경 1주택자 양도소득세 장기보유특별공제 기준 변경 1세대 1주택인 경우, 양도소득세를 비과세 받거나 장기보유특별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현재의 기준은 매매가액 9억 이하에 대해서는 비과세 매매가액 9억 초과시에는 그 초과분에 대해 아래 기준에 따라 장기보유 특별공제를 받습니다. 보유기간 4년 이내 5년 이내 6년 이내 7년 이내 8년 이내 9년 이내 10년 이내 10년 이상 1주택 보유공제 12% 16% 20% 24% 28% 32% 36% 40% 거주공제 12% 16% 20% 24% 28% 32% 36% 4..
재개발, 재건축 주택은 관리처분인가 후 멸실됩니다. 1주택자인 조합원이라면 주택 멸실 후 준공까지의 기간에 거주할 곳이 필요하게 됩니다. 이 때 거주할 주택에 임대로 들어가기도 하고, 주택을 새로 취득해서 가기도 합니다. 만약 거주를 위해 주택을 취득할 경우, 재개발, 재건축 준공이 끝나면 거주한 주택을 팔고 새 집으로 이사를 해야 합니다. 그리고 이렇게 임시로 거주 할 주택을 살 때에는 취득세가 발생하고 팔 때는 양도소득세가 발생합니다. 이렇게 되면 임시 거주 주택을 취득할 때에는 조합원 입주권 + 취득세로 2주택 취득세를 낼 것 같고 임시 거주 주택을 팔 때에는 조합원 입주권 + 임시거주 주택으로 2주택이 되어 양도세 중과를 낼 수도 있을 것 같지만 재개발, 재건축 이주용 주택은 1주택 취득세와 양도..

기획재정부에서 2021년 세법개정안을 발표하였습니다. 많은 내용이 있으나, 그 중 부동산 관련 세법만 살펴보겠습니다. 상속세 동거주택 상속공제 대상 확대 임대소득세 소형주택 간주임대료 과세특례 적용기한 연장 상가건물 장기임대사업제 세액감면 종료 양도소득세 (2.4대책 후속) 조합원 입주권 범위 (2.4대책 후속) 정비사업 대체주택에 대한 양도세 비과세 종합부동산세 (2.4대책 후속) 종합부동산세 합산 배제 부가가치세 (2.4대책 후속) 정비사업조합에 대한 부가가치세 과세 특례 세무사와 상담을 하려면 세무사에게 잘 설명하고 잘 알아들을 수 있어야 합니다. 세무사 상담 전 변경되는 내용들을 알아보겠습니다. 상속세 동거주택 상속공제 대상 확대 상속주택의 경우, 아래의 조건을 만족할 경우 6억원이 상속세 공제를..

부동산을 팔면 발생하는 세금이 있습니다. 양도소득세입니다. 최근 주택시장 안정화를 위해 세금의 적용 내용이 많이 바뀌었습니다. 때문에 세무사들도 양도소득세 계산이 어렵다고 합니다. 이번 글은 양도소득세의 정확한 계산보다 어떤 항목들이 있는지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양도소득세의 실제 계산은 반드시 세무소나 세무사 상담을 받으시기 바랍니다. 임의로 계산하였다가 실수가 발생하면 큰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양도소득세란 부동산 매도 시, 매도금액과 매수당시의 금액을 비교하여 매도차익에 대하여 부과하는 세금입니다. 기타 과세되는 재산 : 부동산에 관한 권리나 주식(대주주), 파생상품과 기타 자산이 포함됩니다. 양도소득세는 국세와 지방세 중 국세이며, 관련기관은 세무서입니다. 납부기한 양도소득세의 신고기한은 아래..
- Total
- Today
- Yesterday
- 전세보증금 반환보증보험
- 양도소득세
- 임대소득세
- 전세권
- 재개발
- 어린이집 예방접종증명서 발급
- 양도소득세 비과세
- 특별보금자리론
- 재산세
- 보금자리론
- 상가
- 취득세
- 재건축
- 재산세 조회
- 주거급여
- 조정대상지역
- 임대차3법
- 오블완
- 확정일자
- 분양가상한제
- 티스토리챌린지
- 명도소송
- 인도명령
- 전월세상한제
- 전세사기
- 계약갱신청구권
- 안심전세앱
- 사전청약
- 경매
- 전세사기 피해자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