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이 더우면 에어컨을 틀게 되는데, 에어컨을 틀면서도 걱정되는 것이 있습니다. 바로 전기요금입니다. 에어컨의 동작 방식과 전기요금을 절약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1. 인버터형과 정속형 차이 2. 확인 방법 3. 전기요금 절약방법 1. 인버터형과 정속형 차이 인버터형은 본체 가격이 비싸지만 사용 전력이 정속형보다 적어 전기요금이 상대적으로 적게 나옵니다. 설정 온도에 도달하면 최소한의 전력만 사용해서 온도를 유지하기 때문입니다. 정속형은 본체 가격이 싸지만 사용전력이 인버터보다 많아 전기요금이 상대적으로 많이 나옵니다. 설정 온도에 도달하면 실외기 작동이 중지되었다가, 다시 온도가 올라가면 실외기가 재작동 하면서 냉방을 합니다. 기기가 껐다 켜졌다를 반복하면서 불필요하게 소모되는 전력이 많아..

이번 겨울도 매우 춥습니다. 집에서 보일러를 틀어야 하는 계절이 왔습니다. 보일러를 틀어야 하는 시기가 되면, 항상 가스비 걱정이 시작됩니다. 그래서 이번 글은 난방비를 절약할 수 있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아래 규칙을 유지하면 난방비를 절약할 수 있습니다. 실내 권장온도와 습도 유지하기 겨울철 실내 권장 온도는 19도 ~ 21도입니다. 실내 온도 1도가 낮아질 때 난방비 약 7%가 절감된다고 합니다. 또한 실내온도를 21도 이상으로 올리면 난방비가 최소 15%는 오른다고 하니, 추위를 많이 타는 것이 아니라면 적정온도를 지켜주는 것이 좋습니다. 실내 습도는 40~60%를 유지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겨울에는 습도가 낮아지기 때문에 가습기를 사용해서 습도를 유지해주어야 합니다. 적절한 습도가 있어..

밥솥 용량 1인 가구의 경우에는 4인용 밥솥을 2인 가구부터는 6인용 밥솥을 고르면 됩니다. 손님을 자주 초대하는 경우에는 10인용 밥솥을 고려합니다. 손님을 자주 초대하지 않는 경우라면, 6인용 밥솥을 고르고 밥이 모자랄 경우를 대비하여 즉석밥을 구비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전기밥솥 종류 IH압력밥솥 일반압력밥솥 비압력밥솥 (보온밥솥) 화력 및 압력 강함 (1.8기압) 중간 (1.8기압) 약함 (압력 없음) 취사속도 빠르다 중간 느리다. 전력량 적다 중간 많다 가격 가장 비싸다 중간 가장 싸다 가열 범위 내솥을 통가열 (밑면+옆면) 하단 열판으로 밑면 가열 하단 열판으로 밑면 가열 IH압력밥솥과 일반압력밥솥의 밥만 차이는 별로 없습니다. 맛 좋은 밥을 위한 밥솥 사실 밥솥보다는 쌀 자체가 밥 맛을 좌우합..

에어컨 관리를 통해 효율을 높이고, 전기세와 관리비를 아끼기 위한 팁입니다. 에어컨에서 냄새가 나는 이유 에어컨에 습기를 제대로 제거하지 않아 물때, 곰팡이가 생기기 때문입니다. 유리컵에 찬물을 담아두고 실온에 놔두면 컵에 물방울이 맺힙니다. 이처럼, 에어컨으로 냉방을 한 후 에어컨을 바로 꺼버리면 에어컨의 차가워진 냉각핀과 송풍관에 습기가 맺힙니다. 이 습기를 제대로 제거하지 않으면 물때가 끼거나, 곰팡이가 생기게 됩니다. 에어컨 냉방 효율이 저하되는 이유 에어컨 필터에 먼지가 쌓여 오염되기 때문입니다. 에어컨은 실내의 공기를 빨아들이고 필터로 거르고 냉각시켜 다시 실내로 내보냅니다. 필터로 거르기 때문에 실내의 먼지들이 에어컨 필터에 쌓이게 됩니다. 먼지가 쌓이면서 공기순환 효율이 떨어지게 되고, 냉..

이번 글에서는 적금에 재미를 붙일 수 있는 방법을 하나 소개하려 합니다. 풍차적금이라는 방식입니다. 풍차적금은 별도의 적금 상품은 아니고, 적금을 하는 방식 중 하나입니다. 풍차적금의 방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월마다 1계좌 씩 12개월 만기의 적금을 개설합니다. 개설한 적금은 12개월 후 1계좌 씩 만기가 됩니다. 만기된 적금은 다시 적금을 개설하거나, 정기예금 계좌로 변경합니다. 만기가 된 후에도 월마다 1계좌씩 지속적으로 개설합니다. 풍차 적금의 장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가벼운 금액부터 적금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 12개월 후 부터는 매월 만기가 다가오므로, 매월 목돈이 생기는 재미가 있습니다. 갑자기 돈이 필요할 경우에 일반적인 적금 방식은 필요한 금액과 상관없이 적금 자체를 해지하여야 하나, 풍차..

밥솥 용량 1인 가구의 경우에는 4인용 밥솥을 2인 가구부터는 6인용 밥솥을 고르면 됩니다. 손님을 자주 초대하는 경우에는 10인용 밥솥을 고려합니다. 손님을 자주 초대하지 않는 경우라면, 6인용 밥솥을 고르고 밥이 모자랄 경우를 대비하여 즉석밥을 구비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전기밥솥 종류 IH압력밥솥 일반압력밥솥 비압력밥솥 (보온밥솥) 화력 및 압력 강함 (1.8기압) 중간 (1.8기압) 약함 (압력 없음) 취사속도 빠르다 중간 느리다 전력량 적다 중간 많다 가격 가장 비싸다 중간 가장 싸다 가열 범위 내솥을 통가열 (밑면+옆면) 하단 열판으로 밑면 가열 하단 열판으로 밑면 가열 IH압력밥솥과 일반압력밥솥의 차이는 별로 없습니다. 맛 좋은 밥을 위한 밥솥 사실 밥솥보다는 쌀 자체가 밥 맛을 좌우합니다. ..

내 재산을 지키고, 늘려가는 기본은 자산관리입니다. 그리고 자산관리의 첫걸음은 통장관리입니다. 통장관리를 통해 내가 갖고 있는 자산이 얼마이고, 가용한 자산이 얼마인지, 얼마나 쓰고 있는지를 쉽게 알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자산에서 새어나가는 지출을 막고 자산증식의 기반을 만드는 통장쪼개기를 알아보겠습니다. 통장 쪼개기를 하는 이유 통장을 쪼개면, 각 통장에 용도를 정할 수 있고, 그 용도에 맞춰 돈을 담아서 그 용도에 맞게 쓰고 있는지 알 수 있게 됩니다. 돈의 목적에 맞는 소비를 하도록 연상회로를 만드는 작업입니다. 목적을 분명히 함으로써 머리 속 지출범위를 제한시켜 조금씩 새어나가는 돈을 막기 위함입니다. 통장은 아래와 같은 분류로 쪼갤 수 있습니다. 급여통장 - 수입이 들어오는 1차 통장 저..

곧 여름입니다. 벌써 날이 더워지기 시작합니다. 더워서 축축 처지기도 하고... 집에 들어가면 에어컨부터 켜고 싶어집니다. 그런데, 에어컨을 틀기 시작하면 걱정되기 시작하는 것이 있습니다. 바로 '전기요금 폭탄'입니다. 전기요금 폭탄은 전기요금 누진제에 따라 전력을 많이 사용할 수록 요금이 많이 나오면서 발생합니다. 이번글은 전력을 많이 쓰면 요금이 얼마나 많이 나오게 되는지 정리합니다. 전기요금 전기 요금의 구조 전기요금은 2부 요금제로, 기본요금 + 전력량요금 방식으로 요금이 부과됩니다. 전기 사용량에 대한 기본요금 (전기요금 종류별로 상이) 전기 사용량에 대한 전력량 요금 (전기요금 종류별로 상이) 기후환경요금 (사용 전력량 x 5.3원/kWh) 신재생에너지의무할당제(RPS), 배출권 거래제(ETS..

우리가 사용하는 가전제품은 전력을 사용합니다 항상 전력을 유지해야 하는 냉장고같은 가전제품이 있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전원을 끄는 TV같은 가전제품이 있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전원 플러그를 뽑는 가전제품이 있습니다. 오늘은 이 중 '사용하지 안을 때 전원을 끄는 가전제품'에 대한 이야기를 하려 합니다 우리는 가전제품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전원 플러그를 뽑는 것인 아니라 전원버튼을 눌러서 전원을 끕니다 전원을 켜놓으면 전기세가 아까운데, 그렇다고 전원 플러그를 뽑는 것은 귀찮으니까요 그런데, 가전제품들 중에는 전원을 껏을 때 전력을 사용하지 않는 제품이 있고 전원을 꺼도 전력을 사용하는 제품이 있습니다. 전원을 꺼도 전력을 사용하는 것을 '대기전력'이라고 합니다. 대기전력이란 보통 전자제품을 사용하지..
절약을 하고 돈 관리를 하려면 가계부를 쓰라고 합니다. 가계부를 쓰면 절약을 어떻게 해서 하게되는지, 이번 글에서는 가계부의 효과를 알아보겠습니다. 가계부 가계 수입과 가계 지출을 중심으로 재산의 증가와 감소를 일정한 형식에 맞추어서 회기 동안 기록하는 장부입니다. 간단하게 말하면, '나의 회계장부'입니다. 가계부는 크게 아래 2가지 방식으로 나뉩니다. 단식부기 가계부 금전출납 방식입니다. 수입과 지출 내역만을 기록합니다. 한달동안 어느 부분의 지출량이 많았는지 파악하는 용도입니다. 복식부기 가계부 기업용 회계방식입니다. 차변과 대변을 사용하여 수입과 지출의 변화 뿐 아니라 내 자산의 변화상태까지 파악하는 용도입니다. 이 2가지를 간단히 하면 단식부기를 사용하는 가계부는 2020년 11월의 지출내역과 수..
- Total
- Today
- Yesterday
- 임대소득세
- 확정일자
- 주거급여
- 보금자리론
- 재개발
- 상가
- 재산세
- 경매
- 명도소송
- 취득세
- 재건축
- 전세보증금 반환보증보험
- 분양가상한제
- 재산세 조회
- 전세사기
- 오블완
- 전월세상한제
- 양도소득세 비과세
- 사전청약
- 양도소득세
- 전세권
- 특별보금자리론
- 티스토리챌린지
- 안심전세앱
- 조정대상지역
- 어린이집 예방접종증명서 발급
- 계약갱신청구권
- 전세사기 피해자
- 임대차3법
- 인도명령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