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지원 정책에서 각종 소득기준은 기준중위소득입니다. 이 기준중위소득과 복지정책은 매년 7월에 발표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4년 기준중위소득과 각 복지급여의 선정기준, 복지급여 지급금액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1. 2024년 기준중위소득 2. 복지급여 선정 기준 3. 최저 보장 수준 1. 2024년 기준중위소득 2024년 월별 기준중위소득은 다음과 같습니다. 1인 2인 3인 4인 5인 6인 23년 기준중위소득 (월소득) 2,077,892 3,456,155 4,434,816 540,0964 6,330,688 7,227,981 34년 기준중위소득 (월소득) 2,228,445 3,682,609 4,714,657 5,729,913 6,695,735 7,618,369 중위소득은 통상적으로 세전소득이 적용..
기준중위소득은 정부지원 정책에서 기준이 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3년 기준중위소득과 각 복지급여의 선정기준, 복지급여 지급금액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1. 2023년 기준중위소득 2. 복지급여 선정 기준 3. 최저 보장 수준 1. 2023년 기준중위소득 2023년 월별 기준중위소득은 다음과 같습니다. 중위소득은 통상적으로 세전소득이 적용됩니다. 1인 2인 3인 4인 5인 6인 23년 기준중위소득 (월) 2,077,892 3,456,155 4,434,816 540,0964 6,330,688 7,227,981 2. 복지급여 선정 기준 중위소득에 따른 복지급여 선정 기준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1인 2인 3인 4인 5인 6인 중위소득 대비 소득수준 생계급여 623,368 1,036,847 1,330,4..
지역별 전기요금 차등제 입법이 논의되고 있습니다. 이 법안이 나오게 된 배경인 지자체 전력 자급률을 비교해 보겠습니다. 목차 1. 광역 지자체 전력 자급률 2. 전력시스템 분산의 필요성 1. 광역 지자체 전력 자급률 우리나라는 '중앙집중형 전력시스템' 구조로, 해안가에 발전시설을 건립해 전력을 생산하고, 수도권 등 도심에서 소비합니다. 지자체 전력자급률 에너기 발전 구분 인천 243% LNG, 석탄 충남 228% 석탄 부산 192% 원자력 전남 185% 원자력, 신재생 경북 184% 원자력 강원 182% 원자력, 신재생 경남 123% 석탄 울산 94% 세종 88% 제주 70% 전북 67% 경기 62% 대구 18% 서울 11% 충북 8% 광주 7% 대전 2% 전력 자급률은 발전량을 판매 전력량으로 나눈 값..

국토교통부에서 2020년도 주거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하였습니다. 주거실태조사 결과에는 이런 내용이 담겨있습니다. 주거안정성 주거비부담 주거이동률과 주택보유 의식 주거수준과 만족도 주거지원 정책수요 가구 형태 별 주거실태 청년가구, 신혼부부가구, 고령가구 그 내용을 알아보겠습니다. 1. 주거안정성 2019년 2020년 자가가구거주율 수도권 50.0% 49.8% 광역시 60.4% 60.1% 도지역 68.8% 69.2% 청년 - 16.1% 신혼부부 - 46.1% 일반 - 57.9% 고령 - 75.4% 자가가구보유율 수도권 54.1% 53.0% 광역시 62.8% 62.2% 도지역 71.2% 71.4% 수도권과 광역시는 소폭 하락, 그 외 지역은 소폭 상승하였습니다. 연령대가 높을수록 자가를 가진 비율이 높습니다...
기준 중위소득은 기초생활보장 및 그 밖의 각종 복지사업의 기준이 됩니다. 기준중위소득은 보건복지부 장관이 주관하는중앙생활보장위원회에서 결정합니다. 이번 글은 2021년도, 2022년도 기준 중위소득과 각 복지 급여별 선정기준을 정리합니다. 기준중위소득 (각 복지 급여 지급 선정기준 포함) 주거급여 월 기준 임대료 교육급여 지급 금액 2021년 기준 중위소득 복지급여 중위소득 1인가구 2인가구 3인가구 4인가구 5인가구 6인가구 생계급여 30% 548,349 926,424 1,195,185 1,462,887 1,727,212 1,988,581 의료급여 40% 731,132 1,235,232 1,593,580 1,950,516 2,302,949 2,651,441 주거급여 45% 822,524 1,389,63..
정부의 발표를 보거나, 신문기사를 보다보면 '월간 주택가격 상승률이 O%이다' 라는 내용들을 볼 수 있습니다. 보통 볼 수 있는 상승률은 1% 미만이기때문에 '얼마 안 올랐네'라고 할 수 있지만 실제 현장에 나가보면 뉴스에서 봤던 상승률을 비웃는 아파트 매매 가격 상승을 볼 수 있습니다. 이는 주택가격 상승률의 계산방법이 우리가 생각하는 상승률과는 동떨어져있기 때문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주택가격 상승률이 실제로는 어떻게 계산되는지 정리합니다. 주택의 가격 상승률 계산 주택 가격 상승률 계산 방법은 1. 특정 지역에 있는 아파트 중 샘플이 될 아파트를 선정 2. 샘플이 된 아파트 단지의 총 가격을 산정 3. 일정 기간 후, 샘플이 된 아파트 단지에서 거래된 가격을 반영하여 단지의 총 가격을 산정 4. 샘플..

물건의 가격의 주 결정요소는 수요와 공급입니다. 주택에서 수요는 사람이지만, 1인이 아닌 1가구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주택의 수요층인 가구수의 변화에 대한 통계를 정리합니다. 2015~2019년의 통계는 KOSIS에서, 2020년과 2021년은 행정안전부에서 참조하였습니다. 출처 : KOSIS 국가통계포털,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통계 KOSIS통계표 대상 가구 (2015 ~ 2019) 가족으로 이루어진 가구 가족과 5인 이하의 남남이 함께 사는 가구 1인가구 가족이 아닌 남남끼리 함께 사는 5인 이하의 가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 (2020 ~ 2021) 2020년 12월 기준 2021년 4월 기준 수도권 가구수 변동 행정구역별(시군구)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

2020년도 기분 외국인이 보유한 토지현황이 발표되었습니다. 발표전문 : 20년 말 외국인 보유 토지는 253.3㎢, 전 국토의 0.25% 2020년 말 기준, 외국인이 보유한 국내 토지면적은 253.3㎢(2억5,355 만㎡)입니다. 2019년 대비 1.9%(468만㎡) 증가 이는 전 국토 면적의 0.25% 수준입니다. 보유면적을 지역으로 보면 경기도가 45,742㎡로 가장 많고, 전라남도가 38,938㎡로 두번째, 경상북도가 36,141㎡로 세번째로 많습니다. 국적별 외국인 토지 보유 현황 (단위:천㎡,억원) 구분 ‘19년말 ‘20년말 대비증감 면적 금액 면적 비중(%) 금액 비중(%) 면적 증감률(%) 합계 248,666 307,758 253,347 100.00% 314,962 100.00% 4,68..

지난 글에서 인구동향을 알아보았습니다. 대한민국 인구, 인구밀도 현황 (2016~2020) (tistory.com) 이번 글은 지역별 자가소유 가구 비율을 알아보고, 이를 인구동향과 연관하여 주택가격과 임대차시장의 가격에 대해 간략하게 정합니다. 자료 출처 : KOSIS 국가통계포털 총 가구 수와 자가가구 비율 2017 2018 2019 총 가구 수 자가가구비율 총 가구 수 자가가구비율 총 가구 수 자가가구비율 전국 19,673,875 55.90% 19,979,188 56.20% 20,343,188 56.30% 서울특별시 3,813,260 49.20% 3,839,766 49.10% 3,896,389 48.60% 부산광역시 1,354,401 58.40% 1,363,608 58.40% 1,377,030 58..

이번 글은 우리나라의 인구, 인구밀도의 변화 추이입니다. 출처는 e나라지표와 kosis 국가통계포털입니다. 출처 : e-나라지표 통계 지역별 인구 및 인구밀도 눈에 띄는 지역별 인구 추세 인구 감소지역 : 서울, 부산, 대구 인구 증가지역 : 경기, 세종, 충남 2019년까지는 수도권의 인구가 전국 인구의 50%이하였으나, 2020년에는 수도권의 인구가 전국 인구의 50%를 초과하였습니다. 눈에 띄는 지역별 인구밀도 추세 인구밀도 감소지역 : 서울, 부산 인구밀도 증가지역 : 세종, 경기 서울의 인구밀도는 소폭 감소하였으나, 수도권의 인구밀도는 증가하였습니다. 2016 2017 2018 2019 2020 인구 인구밀도 인구 인구밀도 인구 인구밀도 인구 인구밀도 인구 인구밀도 계 51,218 510 51,..
- Total
- Today
- Yesterday
- 양도소득세 비과세
- 주거급여
- 임대소득세
- 경매
- 인도명령
- 재건축
- 전세보증금 반환보증보험
- 분양가상한제
- 확정일자
- 재산세 조회
- 전세사기
- 취득세
- 조정대상지역
- 전세권
- 티스토리챌린지
- 특별보금자리론
- 상가
- 명도소송
- 임대차3법
- 안심전세앱
- 양도소득세
- 재개발
- 보금자리론
- 계약갱신청구권
- 어린이집 예방접종증명서 발급
- 오블완
- 재산세
- 전세사기 피해자
- 사전청약
- 전월세상한제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