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이번 글은 우리나라의 인구, 인구밀도의 변화 추이입니다.
출처는 e나라지표와 kosis 국가통계포털입니다.


눈에 띄는 지역별 인구 추세
인구 감소지역 : 서울, 부산, 대구
인구 증가지역 : 경기, 세종, 충남
2019년까지는 수도권의 인구가 전국 인구의 50%이하였으나,
2020년에는 수도권의 인구가 전국 인구의 50%를 초과하였습니다.
눈에 띄는 지역별 인구밀도 추세
인구밀도 감소지역 : 서울, 부산
인구밀도 증가지역 : 세종, 경기
서울의 인구밀도는 소폭 감소하였으나, 수도권의 인구밀도는 증가하였습니다.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
인구 | 인구밀도 | 인구 | 인구밀도 | 인구 | 인구밀도 | 인구 | 인구밀도 | 인구 | 인구밀도 | |
계 | 51,218 | 510 | 51,362 | 512 | 51,607 | 514 | 51,709 | 515 | 51,781 | 516 |
서울 | 9,843 | 16,263 | 9,766 | 16,136 | 9,705 | 16,034 | 9,662 | 15,964 | 9,602 | 15,865 |
부산 | 3,447 | 4,477 | 3,424 | 4,447 | 3,400 | 4,416 | 3,373 | 4,380 | 3,344 | 4,342 |
대구 | 2,461 | 2,786 | 2,458 | 2,782 | 2,450 | 2,773 | 2,432 | 2,753 | 2,419 | 2,738 |
인천 | 2,907 | 2,736 | 2,924 | 2,750 | 2,939 | 2,764 | 2,944 | 2,769 | 2,951 | 2,770 |
광주 | 1,502 | 2,997 | 1,495 | 2,984 | 1,493 | 2,980 | 1,494 | 2,980 | 1,488 | 2,969 |
대전 | 1,536 | 2,848 | 1,528 | 2,832 | 1,518 | 2,813 | 1,509 | 2,796 | 1,500 | 2,780 |
울산 | 1,166 | 1,099 | 1,159 | 1,092 | 1,154 | 1,088 | 1,147 | 1,080 | 1,140 | 1,073 |
세종 | 234 | 504 | 266 | 571 | 304 | 653 | 331 | 712 | 349 | 750 |
경기 | 12,600 | 1,237 | 12,786 | 1,255 | 13,031 | 1,279 | 13,238 | 1,299 | 13,405 | 1,315 |
강원 | 1,521 | 90 | 1,521 | 90 | 1,521 | 90 | 1,517 | 90 | 1,515 | 90 |
충북 | 1,601 | 216 | 1,609 | 217 | 1,619 | 219 | 1,626 | 219 | 1,632 | 220 |
충남 | 2,126 | 258 | 2,153 | 262 | 2,180 | 265 | 2,188 | 265 | 2,204 | 267 |
전북 | 1,835 | 227 | 1,829 | 227 | 1,820 | 226 | 1,803 | 223 | 1,792 | 222 |
전남 | 1,798 | 146 | 1,795 | 146 | 1,790 | 145 | 1,773 | 144 | 1,764 | 143 |
경북 | 2,683 | 141 | 2,675 | 141 | 2,674 | 141 | 2,665 | 140 | 2,655 | 140 |
경남 | 3,338 | 317 | 3,339 | 317 | 3,356 | 318 | 3,350 | 318 | 3,350 | 318 |
제주 | 618 | 334 | 635 | 343 | 653 | 353 | 660 | 356 | 670 | 362 |
수도권 | 25,350 | 2,139 | 25,476 | 2,149 | 25,675 | 2,165 | 25,844 | 2,179 | 25,958 | 2,188 |
* 인구 단위 : 천명
* 인구밀도 단위 : 명/㎢
통계를 통해...
수도권, 세종시로의 인구가 늘고 있습니다
특히 수도권의 인구규모는 50%를 넘어섰습니다.
인구가 몰리는 만큼 그만큼의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당분간 수도권의 주택시장은 매도자우위, 즉 상승하거나 최소 보합의 형태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부동산 > 통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0년말 외국인 보유 토지 현황 (0) | 2021.04.27 |
---|---|
지역별 자가소유 가구 비율 (0) | 2021.04.18 |
2020, 2021 기준 중위소득 (0) | 2021.02.26 |
안전한 도시 : 지역안전지수 (0) | 2021.02.21 |
안전한 도시 : 교통안전 (0) | 2021.02.15 |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확정일자
- 조정대상지역
- 특별보금자리론
- 전세보증금 반환보증보험
- 전세권
- 티스토리챌린지
- 보금자리론
- 양도소득세 비과세
- 전세사기 피해자
- 양도소득세
- 재개발
- 재산세 조회
- 분양가상한제
- 재건축
- 임대차3법
- 재산세
- 안심전세앱
- 명도소송
- 취득세
- 주거급여
- 전월세상한제
- 경매
- 오블완
- 임대소득세
- 사전청약
- 인도명령
- 전세사기
- 어린이집 예방접종증명서 발급
- 계약갱신청구권
- 상가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