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국토교통부에서 2020년도 주거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하였습니다.
주거실태조사 결과에는 이런 내용이 담겨있습니다.
- 주거안정성
- 주거비부담
- 주거이동률과 주택보유 의식
- 주거수준과 만족도
- 주거지원 정책수요
- 가구 형태 별 주거실태
- 청년가구, 신혼부부가구, 고령가구
그 내용을 알아보겠습니다.
1. 주거안정성
2019년 | 2020년 | ||
자가가구거주율 | 수도권 | 50.0% | 49.8% |
광역시 | 60.4% | 60.1% | |
도지역 | 68.8% | 69.2% | |
청년 | - | 16.1% | |
신혼부부 | - | 46.1% | |
일반 | - | 57.9% | |
고령 | - | 75.4% | |
자가가구보유율 | 수도권 | 54.1% | 53.0% |
광역시 | 62.8% | 62.2% | |
도지역 | 71.2% | 71.4% |
수도권과 광역시는 소폭 하락, 그 외 지역은 소폭 상승하였습니다.
연령대가 높을수록 자가를 가진 비율이 높습니다.
2. 주거비부담률
주택을 구매지수를 분석할 때에는 PIR이라는 개념이 나옵니다.
PIR(Price Income Ratio)이란, 연소득 대비 주택가격 배수로, 주택가격이 중위연소득 또는 평균연소득의 몇 배인지를 나타냅니다.
즉, 주택을 사기 위해 연소득 하나도 안쓰고 얼마나(=몇 년이나) 모아야 하느냐를 말합니다.
2019년 | 2020년 | ||
중위 | 전국 | 5.4배 | 5.5배 |
수도권 | 6.8배 | 8.0배 | |
광역시 | 5.5배 | 6.0배 | |
도지역 | 3.6배 | 3.9배 | |
평균 | 전국 | 6.8배 | 7.3배 |
수도권 | 9.0배 | 9.6배 | |
광역시 | 6.2배 | 6.8배 | |
도지역 | 4.3배 | 4.5배 | |
생애최초 주택마련 소요연수 | 6.9년 | 7.7년 |
주택을 임차지수를 분석할 때에는 RIR이라는 개념이 나옵니다.
RIR이란, 임차가구의 월소득 대비 월임대료 비율입니다.
즉, 월세 거주를 위해 중위/평균소득의 몇 %가 월세로 지출되는지를 말합니다.
2019년 | 2020년 | ||
중위 | 전국 | 16.1% | 16.6% |
수도권 | 20.0% | 18.6% | |
광역시 | 16.3% | 15.1% | |
도지역 | 12.7% | 12.7% | |
평균 | 전국 | 21.3% | 20.9% |
수도권 | 24.6% | 23.7% | |
광역시 | 17.7% | 17.9% | |
도지역 | 14.6% | 14.6% |
3. 주거이동 및 주택보유의식
평균 거주기간 | 2년 이내 주거이동률 | ||
전체가구 평균 | 7.6년 | 37.2% | |
자가여부 별 | 자가 | 10.6년 | 20.7% |
임차 | 3.2년 | 62.1% | |
지역별 | 수도권 | 6.1년 | 41.9% |
광역시 | 7.4년 | 36.1% | |
도지역 | 10.0년 | 30.5% | |
연령별 | 청년 | 82.2% | |
신혼부부 | 66.5% | ||
일반 | 37.2% | ||
고령 | 14.7% |
연령이 어릴수록, 전/월세일수록 이사를 자주 다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사의 이유
- 시설이나 설비 상향 : 48.3%
- 직주근접 : 29.7%
- 주택마련을 위해 : 28.3%
4. 주거수준 및 만족도
2019년 | 2020년 | |
최저주거기준 미달가구 | 5% | 4.6% |
1인당 주거면적 | 32.9㎡ | 33.9㎡ |
주택 만족도 | - | 3.00점 |
주거환경 만족도 | - | 2.97점 |
5. 주거지원 정책수요 및 평가
전체 가구 중 40.6%가 주거지원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하였으며
원하는 주거지원 프로그램은
- 주택구입자금 대출지원 : 34.6%
- 전세자금 대출지원 : 24.5%
- 장기공공임대주택 공급 : 11.6%
순이었습니다.
자가가구는 주택구입자금 대출지원(57.6%)을
전세가구는 전세자금 대출지원(37.3%)을
월세가구는 월세보조금 지원(33.8%)을 가장 필요한 주거지원 프로그램으로 뽑았습니다.
공공임대주택
전체 가구 중 35.6%가 입주기회가 있다면 공공임대주택에 입주할 의향이 있다고 합니다.
- 자가가구의 입주의향 : 17.4%
- 전세가구의 입주의향 : 54.3%
- 월세가구의 입주의향 : 68.6%
공공임대주택에 거주하는 가구 중 94.4%가 만족한다고 응답하였으며
저렴한 임대료(49.2%)가 가장 높은 이유였고, 자주 이사를 하지 않아도 된다(38.3%)는 이유가 그 다음을 이었습니다.
6. 주거실태
청년가구
- 정의 : 가구주의 연령이 만19세에서 만34세 이하인 가구
- 주거안정성
- 1인 가구(61.9%)가 많다.
- 주거이동률 82.2%로 높다
- 주택형태
- 단독주택 : 38.8%
- 아파트 : 33.9%
- 주택 이외 : 13.4%
- 주거비용
- 임차가구의 RIR : 16.8% (19년(17.7%)
- 자가가구의 PIR : 5.5배 (19년(5.0배))
- 주거수준
- 최저주거기준 미달가구의 비율은 7.5%
- 1인당 주거면적 : 30.9㎡ (19년 27.9㎡)
- 지하·반지하·옥탑 거주 가구 비중 : 2.0% (19년 1.9%)
- 필요한 주거지원 정책 : 전세자금 대출지원(39.1%), 주택 구입자금 대출지원(23.4%), 월세보조금 지원(16.3%)
신혼부부가구
- 정의 : 혼인한지 7년 이하인 가구
- 주거안정성
- 자가 거주율 : 46.1%
- 자가 마련 방법 : 신축건물 분양 및 구입비율이 29.8%
- 주택형태
- 아파트 : 75.1%
- 단독주택 : 12.4%
- 다세대주택 : 8.6%
- 주택 이외 : 3.9%
- 주거비용
- 임차가구의 RIR : 18.4% (19년(20.2%)
- 자가가구의 PIR : 5.6배 (19년(5.2배))
- 주거수준
- 최저주거기준 미달가구의 비율은 1.9%
- 1인당 주거면적 : 26.9㎡ (19년 24.6㎡)
- 지하·반지하·옥탑 거주 가구 비중 : 0.3% (19년 0.5%)
- 필요한 주거지원 정책 : 주택 구입자금 대출지원(48.6%), 전세자금 대출지원(28.2%)
고령가구
- 정의 : 가구주의 연령이 만65세 이상인 가구
- 주거안정성
- 자가 거주율 : 75.4%
- 주거이동률 : 14.7%
- 주택형태
- 아파트 거주율 : 50.9% (수도권 내)
- 단독주택 거주율 : 58.0% (수도권 외)
- 주거비용
- 임차가구의 RIR : 29.9%
- 자가가구의 PIR : 9.7배
- 주거수준
- 최저주거기준 미달가구의 비율 : 3.4%
- 1인당 주거면적 : 45.2㎡ (19년 45.3㎡)
- 필요한 주거지원 정책 : 주택 구입자금 대출지원(24.7%), 개량·개보수(21.8%)
'부동산 > 통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년 기준중위소득과 최저보장 수준 (1) | 2023.10.28 |
---|---|
지역별 전기요금 차등제 : 광역 지자체 전력 자급률 비교 (0) | 2023.06.13 |
2021년, 2022년 기준중위소득과 복지급여지급기준 (0) | 2021.08.12 |
주택가격 상승률의 의미 (0) | 2021.06.30 |
전국 가구수 변동 (2015 ~ 2021) (0) | 2021.05.22 |
- Total
- Today
- Yesterday
- 어린이집 예방접종증명서 발급
- 사전청약
- 재건축
- 전세사기
- 경매
- 취득세
- 전세사기 피해자
- 안심전세앱
- 인도명령
- 특별보금자리론
- 명도소송
- 전세권
- 오블완
- 보금자리론
- 임대소득세
- 확정일자
- 전월세상한제
- 전세보증금 반환보증보험
- 주거급여
- 티스토리챌린지
- 재산세 조회
- 재개발
- 재산세
- 조정대상지역
- 양도소득세
- 양도소득세 비과세
- 분양가상한제
- 상가
- 임대차3법
- 계약갱신청구권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