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지난번 가구별 소득분위 통계에 이어, 이번 통계는 가구별 자산, 부채, 소득 현황에 대한 분석입니다.
통계 자료 출처는 통계청의 '입주 형태별 자산 소득 현황'입니다.
전체 가구 별 통계는 아래와 같습니다.
(단위 : 만원)
|
2017 | 2018 | 2019 | ||||||
평균값 | 중위값 | 평균값 | 중위값 | 평균값 | 중위값 | ||||
가구 구성 |
분포 (%) | 100 | - | 100 | - | 100 | - | ||
가구원 수 (명) | 3 | - | 3 | - | 3 | - | |||
가구주 연령 (세) | 54 | - | 55 | - | 55 | - | |||
가구 소득 | 전년도 경상소득 | 5,478 | 4,300 | 5,705 | 4,457 | 5,828 | 4,567 | ||
가구 자산 |
자산 총액 | 38,671 | 23,780 | 42,036 | 25,710 | 43,191 | 25,508 | ||
금융자산 |
급융자산 합계 | 9,722 | 4,780 | 10,346 | 5,044 | 10,570 | 5,062 | ||
저축 | 7,208 | 3,338 | 7,685 | 3,520 | 7,873 | 3,560 | |||
현거주지 전월세보증금 | 2,514 | 3,000 | 2,662 | 3,300 | 2,697 | 3,500 | |||
실물자산 |
실물자산 합계 | 28,950 | 20,895 | 31,689 | 22,500 | 32,621 | 22,195 | ||
부동산 |
26,835 | 25,000 | 29,380 | 26,000 | 30,379 | 26,000 | |||
거주주택 | 15,416 | 20,000 | 16,894 | 20,500 | 17,933 | 21,000 | |||
거주 외 주택 | 11,010 | 17,570 | 12,037 | 19,000 | 12,044 | 19,500 | |||
분양 | 409 | 5,000 | 450 | 5,500 | 402 | 6,000 | |||
가구 부채 |
부채 총액 | 7,099 | 5,100 | 7,668 | 5,386 | 7,910 | 5,550 | ||
금융부채 |
5,041 | 4,696 | 5,539 | 5,000 | 5,755 | 5,020 | |||
담보대출 |
4,070 | 6,400 | 4,407 | 7,000 | 4,583 | 7,197 | |||
거주 외 주택 | 3,662 | 7,600 | 3,896 | 8,000 | 3,949 | 8,400 | |||
거주주택 | 2,415 | 7,000 | 2,499 | 7,500 | 2,547 | 7,700 | |||
기타 신용대출 | 971 | 4,722 | 1,133 | 5,014 | 1,172 | 5,670 | |||
임대보증금 | 2,058 | 6,000 | 2,129 | 5,500 | 2,155 | 5,500 | |||
전년도 원리금상환액 | 1,024 | 708 | 1,102 | 754 | 1,175 | 770 | |||
가구 순 자산 | 31,572 | 18,740 | 34,368 | 20,045 | 35,281 | 20,050 |
자산과 부채
자산 대비 부채비율 (평균)
2017년 | 2018년 | 2019년 | |
가구 자산 총액 | 3억 8,671만원 | 4억 2,036만원 | 4억 3,191만원 |
가구 부채 총액 | 7,099만원 | 7,668만원 | 7,910만원 |
자산 대비 부채비율 | 18% | 18% | 18% |
자산 대비 부채비율 (중위값)
2017년 | 2018년 | 2019년 | |
가구 자산 총액 | 2억 3,780만원 | 2억 5,710만원 | 2억 5,508만원 |
가구 부채 총액 | 5,100만원 | 5,386만원 | 5,550만원 |
자산 대비 부채비율 | 21% | 20% | 21% |
자산의 평균값이 중위값보다 높다는 것은
- 고가자산을 갖고 있는 사람의 비율이 적고
- 그 적은 비율의 사람들이 고가 자산을 많이 소유하고 있다는 뜻입니다.
부채의 평균값이 중위값보다 높다는 것은
- 부채가 많은 사람의 비율이 적고
- 그 적은 비율의 사람들이 많은 부채를 소유하고 있다는 뜻입니다.
자산 구성
|
2017 | 2018 | 2019 | ||||||
평균 | 가구 비율 |
평균 | 가구 비율 |
평균 | 가구 비율 |
||||
가구 자산 |
자산 총액 | 38,671 | 100.0% | 42,036 | 100.0% | 43,191 | 100.0% | ||
금융자산 |
9,722 | 99.9% | 10,346 | 100.0% | 10,570 | 99.9% | |||
저축 | 7,208 | 99.9% | 7,685 | 99.9% | 7,873 | 99.9% | |||
현거주지 전월세보증금 | 2,514 | 32.0% | 2,662 | 31.7% | 2,697 | 31.7% | |||
실물자산 |
28,950 | 86.3% | 31,689 | 86.4% | 32,621 | 85.9% | |||
부동산 |
26,835 | 69.4% | 29,380 | 70.1% | 30,379 | 69.7% | |||
거주주택 | 15,416 | 60.6% | 16,894 | 61.1% | 17,933 | 61.2% | |||
거주 외 부동산 | 11,010 | 32.5% | 12,037 | 33.5% | 12,044 | 32.6% | |||
분양 | 409 | 4.3% | 450 | 4.2% | 402 | 3.7% |
- 부동산을 소유한 가구는 전체의 약 70%입니다.
- 자가주택에 거주하는 가구는 약 60%입니다.
- 1주택가구 : 자택에서 거주 중인 가구
- 다주택가구 : 자택에거 거주 중이고 자택 외에도 부동산이 있는 가구
- 거주하지 않는 부동산을 갖고 있는 가구는 약 32%입니다
- 1주택가구 : 자택은 전세/월세를 주고 전세/월세 거주 중인 가구
- 다주택가구
- 자가주택에 거주하는 가구는 약 60%입니다.
- 약 4%의 가구가 분양 입주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부채 구성
|
2017 | 2018 | 2019 | ||||||
평균 | 가구 비율 |
평균 | 가구 비율 |
평균 | 가구 비율 |
||||
가구 부채 |
부채 총액 | 7,099 | 64% | 7,668 | 64% | 7,910 | 64% | ||
금융부채 |
5,041 | 57% | 5,539 | 57% | 5,755 | 58% | |||
담보대출 |
4,070 | 39% | 4,407 | 38% | 4,583 | 39% | |||
비거주주택 | 3,662 | 31% | 3,896 | 31% | 3,949 | 31% | |||
거주주택 | 2,415 | 26% | 2,499 | 26% | 2,547 | 26% | |||
신용대출 | 678 | 21% | 776 | 21% | 786 | 22% | |||
신용카드 관련 대출 | 57 | 5% | 58 | 5% | 58 | 5% | |||
외상및할부미상환액 | 113 | 20% | 132 | 20% | 133 | 21% | |||
곗탄후 불입금액 | 2 | 0% | 2 | 0% | 2 | 0% | |||
빌린 돈(개인 및 직장) | 121 | 3% | 165 | 4% | 193 | 4% | |||
임대보증금 (만원) | 2,058 | 17% | 2,129 | 17% | 2,155 | 16% |
- 전체 가구 중 64%의 가구가 부채를 갖고 있습니다.
- 자가 주택에 부채가 있는 가구가 약 26%입니다.
- 거주하지 않는 주택에 부채가 있는 가구가 약 31%입니다.
- 전월세 임대 보증금에 부채가 있는 가구가 약 17%입니다.
정리
부동산을 갖고 있는 약 86%의 가구 중 39%가 부채를 갖고 있습니다.
- 자가 거주 중인 가구 약 60% 중 26%가 부채를 갖고 있습니다.
- 부채 없이 자가를 소유한 가구가 34%입니다.
- 거주하지 않는 주택을 소유한 가구 약 32% 중 31%가 부채를 갖고 있습니다.
- 이 부채가 은행의 대출인지, 전월세 임대보증금인지는 나와있지 않습니다.
- 한국의 상황을 보았을 때, 전월세 임대보증금도 부채로 간주하였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 전월세 거주 약 32% 중 17%가 부채를 갖고 있습니다.
- 부채 없이 자신의 돈으로 전월세를 충당할 수 있는 가구가 15%입니다.
통계용어 설명
가구소득
- 경상소득 : 꾸준히 얻을 수 있는 소득을 말합니다.
- 종류 : 근로소득, 사업소득 등
- 비경상소득 : 비정기적으로 얻을 수 있는 소득을 말합니다.
- 종류 : 일시적인 정부지원 보조금(재난지원금), 출산장려금 등
원리금 상환액 : 한 해 동안의 원리금 상환 총액을 말합니다.
'부동산 > 통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전한 도시 : 교통안전 (0) | 2021.02.15 |
---|---|
2019년도 도시근로자 월평균 소득 (0) | 2020.08.29 |
2020년 상반기 자가 거주 가구비율 (0) | 2020.08.20 |
정부 지원 정책의 기준, 중위소득 (0) | 2020.08.11 |
가구별 소득 (2016~2018) (0) | 2020.08.09 |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전세보증금 반환보증보험
- 인도명령
- 주거급여
- 임대차3법
- 재산세 조회
- 전월세상한제
- 전세권
- 계약갱신청구권
- 어린이집 예방접종증명서 발급
- 재건축
- 분양가상한제
- 조정대상지역
- 전세사기
- 특별보금자리론
- 양도소득세 비과세
- 재산세
- 명도소송
- 사전청약
- 경매
- 전세사기 피해자
- 재개발
- 오블완
- 보금자리론
- 양도소득세
- 확정일자
- 티스토리챌린지
- 취득세
- 상가
- 임대소득세
- 안심전세앱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