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한국 주식 투자에 관련된 세금은 크게 양도소득세, 배당소득세, 그리고 거래세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양도소득세
국내 상장주식의 양도소득세는 대주주에게만 부과됩니다.
대주주 요건
- 코스피 기준 보유지분 1% 이상 또는 50억원 이상
- 코스닥 기준 보유지분 2% 이상 또는 50억원 이상
- 코넥스 기준 보유지분 4% 이상 또는 50억원 이상
- 비상장주식 기준 보유지분 4% 이상 또는 10억원 이상
소액주주(보유지분 1% 미만 또는 코스닥 기준 2% 미만)에게 부과되지 않습니다.
세율
양도차익 3억원 이하는 22%
양도차익 3억원 초과 시 27.5%
대주주가 중소기업이 아닌 법인 주식을 1년 미만 보유 후 매도 시 33%
과세 방식
양도소득이 발생할 경우, 투자자는 다음 해 5월 종합소득세 신고 기간에 신고해야 합니다.
2. 배당소득세
주식으로 발생한 배당금(현금배당, 주식배당 등)은 모두 배당소득세 부과 대상입니다.
세율
배당금은 15.4%의 세율(소득세 14% + 지방소득세 1.4%)이 원천징수됩니다.
과세 방식
배당을 받을 때 원천징수되기 때문에 별도의 신고절차는 없습니다.
주의점
한 해 동안 금융소득이 2천만 원을 초과할 경우, 종합과세대상이 됩니다.
종합과세대상이 되면, 다른 소득과 합산해 추가로 종합소득세(6~45%)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3. 거래세
주식을 매도할 때 부과되는 세금입니다.
주식으로 수익을 보았던, 손해를 보았던 동일하게 부과됩니다.
2024 세율
- 코스피: 0.18% (증권거래세 0.03% + 농어촌특별세 0.15%)
- 코스닥: 0.18%
- K-OTC (장외시장): 0.18%
- 비상장주식·상장주식 장외거래 : 0.35%
2025 세율
- 코스피: 0.15%
- 코스닥: 0.15%
- K-OTC (장외시장): 0.15%
- 비상장주식·상장주식 장외거래 : 0.35%
과세 방식
배당소득세와 동일하게 원천징수되기 때문에 별도의 신고절차는 없습니다.
'금융지식 >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주식 옵션 거래 용어 정리와 거래 방법 (2) | 2024.11.23 |
---|---|
자사주 매입 후 소각의 효과와 한계점 (2) | 2024.11.21 |
본 주식과 ETF의 차이점 (3) | 2024.11.17 |
미국주식 세금 지식 : 양도소득세, 배당소득세 (2) | 2024.11.15 |
주식 투자경고의 조건과 효력 (0) | 2023.08.23 |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전월세상한제
- 오블완
- 양도소득세
- 계약갱신청구권
- 재개발
- 안심전세앱
- 전세사기 피해자
- 분양가상한제
- 전세사기
- 사전청약
- 경매
- 인도명령
- 전세권
- 임대차3법
- 특별보금자리론
- 임대소득세
- 티스토리챌린지
- 재건축
- 확정일자
- 재산세 조회
- 보금자리론
- 명도소송
- 재산세
- 주거급여
- 상가
- 취득세
- 양도소득세 비과세
- 전세보증금 반환보증보험
- 조정대상지역
- 어린이집 예방접종증명서 발급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