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자사주 매입 후 소각(자사주 소각)은 기업이 자사의 주식을 시장에서 매입한 뒤 이를 소각하여 유통 주식 수를 줄이는 전략입니다.
자사주 매입은 유통되는 주식이 감소 효과만 있지만, 자사주 소각은 주식 수가 줄어들어 주당 순이익(EPS)과 주당순자산(BPS)이 상승하게 됩니다.
주당 순이익이 늘어난 만큼 주가가 오르는 효과가 있어 대표적인 주주환원 정책으로 꼽힙니다.
1. 자사주 매입 요건
자사주 매입은 배당가능이익 한도 내에서만 가능합니다.
배당가능이익은 회사 내에 쌓여있는 유보금이 있어야 하고, 이를 위해 동안 흑자를 꾸준히 내고 이익잉여금 중 일부를 회사에 쌓고 있어야 합니다.
2. 자사주 매입의 효과
주식 희소성 증가
자사주를 소각하면 유통 주식 수가 감소합니다.
동일한 이익을 더 적은 주식으로 나누게 되므로 주당순이익(EPS, Earnings Per Share)이 증가합니다.
이는 투자자들에게 기업의 수익성이 향상된 것처럼 보이게 하고, 주가 상승 압력을 가할 수 있습니다.
장기적으로 주가가 상승할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주주 가치 제고
일반적으로 자사주 매입은 회사가 여유 자본을 사용하여 주주들에게 가치를 환원하는 행위로 받아들여집니다.
특히 소각까지 진행되면 기업이 주가의 장기적인 상승을 의도한다는 신호로 받아들이게 됩니다.
주가 하방 지지
자사주 매입은 시장에서 매수 활동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단기적으로 주가를 지지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소각까지 진행되면 주식 수 감소로 인해 주식 공급이 줄어들어 수요와 공급의 원리에 따라 주가가 상승할 가능성이 커집니다.
과잉 유동성 문제 해결
기업이 잉여 자금을 자사주 매입 및 소각에 활용하면, 자본을 비효율적으로 축적하지 않고 주주 가치를 높이는 데 사용한다는 긍정적인 신호를 줄 수 있습니다.
3. 자사주 매입의 한계점
자사주 매입 및 소각이 항상 주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닙니다.
단기적인 주가 상승을 위해 무리한 자사주 매입이 이루어진 경우, 기업 재정 상태가 약화될 수 있습니다.
- 회계상 매수한 자사주 금액만큼 자본금이 감소하고, 자본금이 줄면 자본총계도 감소하며 부채비율은 높아지는 등 전반적으로 회사의 재무 안정성이 나빠지게 됩니다.
기업이 미래 성장을 위해 투자해야 할 자금을 소각에 사용하면 성장 잠재력이 감소할 수 있습니다.
투자자들이 소각 효과를 과대 평가하지 않을 경우, 기대만큼의 주가 상승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습니다.
결국, 자사주 매입 및 소각은 유통 주식 수를 줄이고 EPS를 증가시켜 주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지만, 기업의 전반적인 재무 상태와 경영 전략에 따라 그 효과는 달라질 수 있습니다.
'금융지식 >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주식 옵션 거래 : 커버드 콜 (2) | 2024.11.24 |
---|---|
미국 주식 옵션 거래 용어 정리와 거래 방법 (2) | 2024.11.23 |
한국주식 세금 지식 : 양도소득세, 배당소득세, 거래세 (1) | 2024.11.20 |
본 주식과 ETF의 차이점 (3) | 2024.11.17 |
미국주식 세금 지식 : 양도소득세, 배당소득세 (2) | 2024.11.15 |
- Total
- Today
- Yesterday
- 오블완
- 양도소득세 비과세
- 전월세상한제
- 취득세
- 재건축
- 주거급여
- 전세보증금 반환보증보험
- 경매
- 양도소득세
- 조정대상지역
- 재산세
- 안심전세앱
- 전세사기 피해자
- 상가
- 분양가상한제
- 명도소송
- 전세권
- 임대차3법
- 티스토리챌린지
- 계약갱신청구권
- 보금자리론
- 특별보금자리론
- 재개발
- 확정일자
- 인도명령
- 어린이집 예방접종증명서 발급
- 임대소득세
- 전세사기
- 재산세 조회
- 사전청약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