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투자를 시작했다면, 기대하는 수익이 있을 것입니다.
투자 법칙 중에는 이 기대수익을 계산하는 법칙이 있습니다.
72법칙이라는 것인데, 내가 투자한 원금이 2배가 되는데 걸리는 비용을 계산 하는 것입니다.
이번 글은 이 72법칙을 정리합니다.
72법칙
복리 계산법의 하나입니다
원금을 2배로 만드는게 필요한 시간 또는 수익률을 계산할 때 사용합니다.
계산방법
원금을 2배로 만드는데 필요한 시간 : 72 / 연 수익률
원금을 2배로 만드는데 필요한 수익률 : 72 / 투자기간
연 수익률이 5%일 경우 원금을 2배로 만드는데 필요한 시간
72 / 5 = 14.4년
10년 후에 원금을 2배로 만드는데 필요한 수익률
72 / 10 = 7.2%
실제 투자 수익률
위에서는 연 수익률 5%면 14.4년, 7.2%면 10년이 걸린다고 하였으나
실제로 이런 결과를 내기는 매우 어렵습니다.
매년 5% 이상의 수익률을 거둔다는 것은 그만큼 투자 공부와 경험이 많고 운도 따라줬다는 얘기입니다.
연 수익률 5%는 상대적으로 안전한 자산에 투자하였을 때 얻을 수 있는 수익률입니다.
연 수익률 7%는 투자에 대한 공부를 많이 하고, 투자 지식과 경험이 많을 때 얻을 수 있는 수익률입니다.
연 수익률 10%부터는 투자 전문가의 영역입니다. 투자 지식과 경험이 많은 것은 물론이고 운도 많이 따라야 합니다. 이런 수익률을 매년 낼 수 있다면 투자의 귀재라고 불려도 됩니다.
세계적인 투자가인 워렌버핏의 평균 연 수익률은 20%입니다.
투자로 큰 성과를 얻고 싶다면
투자 성과에 관여하는 지표는 3가지 입니다.
원금, 시간, 수익률
위에서 말했듯이 수익률을 높이려면 투자공부를 열심히 해서 지식을 늘리고 실제 투자 경험도 많이 해봐야 합니다.
시간은 모두에게 똑같이 주어지나, 각자가 원하는 시간이 다르고 시간을 줄이려면 수익률을 높여야 합니다.
남은 것은 원금입니다. 투자 원금을 늘리면, 수익률이 적더라도 내가 벌어들이는 수익금 자체는 높습니다.
100만원의 5%와 1억원의 5%는 같은 5%의 수익률이라 하더라도 각각 5만원과 500만원이라는 차이가 있습니다.
투자 원금을 늘리는 방법은 간단합니다. 매월 투자금을 꾸준히 증액하는 것입니다.
매월 100만원씩 투자원금을 쌓을 경우, 1년이면 1200만원의 투자원금이 쌓입니다
이 1200만원으로 투자를 하고 다음해에 다시 1200만원을 모읍니다.
이 때 1200만원 투자원금의 수익률이 5%라고 가정한다면, 매년 증액 한 경우와 아닌 경우의 수익금은 아래와 같은 차이가 발생합니다.
연차 | 원금 1200만원 매년 꾸준히 증액 | 원금 1200만원 투자 후 유지 | ||||
투자원금 | 투자결과 (5%) | 수익금 | 투자원금 | 투자결과 (5%) | 수익금 | |
1년 | 1200만원 | 1260만원 | 60만원 | 1200만원 | 1260만원 | 60만원 |
2년 | 2400만원 | 2523만원 | 123만원 | 1200만원 | 1323만원 | 123만원 |
3년 | 3600만원 | 3849만원 | 249만원 | 1200만원 | 1389만원 | 189만원 |
4년 | 4800만원 | 5241만원 | 441만원 | 1200만원 | 1458만원 | 258만원 |
5년 | 6000만원 | 6703만원 | 703만원 | 1200만원 | 1531만원 | 331만원 |
6년 | 7200만원 | 8238만원 | 1038만원 | 1200만원 | 1608만원 | 408만원 |
7년 | 8400만원 | 9850만원 | 1450만원 | 1200만원 | 1688만원 | 488만원 |
8년 | 9600만원 | 1억 1543만원 | 1943만원 | 1200만원 | 1772만원 | 572만원 |
9년 | 1억 800만원 | 1억 3320만원 | 2520만원 | 1200만원 | 1861만원 | 661만원 |
10년 | 1억 2000만원 | 1억 5186만원 | 3186만원 | 1200만원 | 1954만원 | 754만원 |
나의 공부가 적고 투자 경험도 적다면, 원금을 늘리고 수익률은 낮지만 좀 더 안정적인 투자를 해야 합니다.
그렇게 안정적인 투자를 하면서 공부를 늘리고 투자 경험이 쌓이면서 좀 더 높은 수익률의 투자에 조금씩 도전해보면 됩니다.
빠른 시간 안에 큰 투자성과를 얻으려고 하다 내 역량보다 무리하게 투자를 하면 손실을 보게 됩니다.
천천히 경험을 쌓다보면, 내 투자금만이 아니라 내 투자역량 또한 복리로 상승하게 됩니다.
'금융지식 >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비와 저축이 중요한 이유 (0) | 2021.08.29 |
---|---|
근로소득이 중요한 이유 (0) | 2021.08.28 |
부자가 되는 단계 (0) | 2021.08.27 |
단리와 복리 (0) | 2021.01.09 |
투자의 기본 3가지 (0) | 2020.12.17 |
- Total
- Today
- Yesterday
- 사전청약
- 전세보증금 반환보증보험
- 취득세
- 티스토리챌린지
- 오블완
- 인도명령
- 재개발
- 보금자리론
- 양도소득세
- 확정일자
- 재산세
- 재건축
- 분양가상한제
- 전월세상한제
- 안심전세앱
- 임대소득세
- 경매
- 재산세 조회
- 조정대상지역
- 계약갱신청구권
- 어린이집 예방접종증명서 발급
- 특별보금자리론
- 주거급여
- 전세사기 피해자
- 전세사기
- 명도소송
- 양도소득세 비과세
- 상가
- 전세권
- 임대차3법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