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2023년 현재 부동산 취득세의 정의와 언제까지 얼마나 내야 하는지, 내지 않으면 어떻게 되는지를 정리합니다.
1. 세금명
취득세는 부동산, 자동차, 배 등 재산세 납부대상인 자산을 취득할 때 내는 세금입니다.
이 글에서는 부동산 취득세만 다룹니다.
2. 세금내용
부동산(토지, 건물)을 취득할 때 내는 세금입니다.
취득세는 지방세로, 부동산이 위치한 곳의 관할 시/군/구청에 납부하게 됩니다.
3. 세액
세금납부 대상이 되는 금액
취득세 부과의 기준은 3가지 입니다.
- 그 부동산을 매수한 금액 (신고가액)
- 매수한 사람이 기존에 소유하고 있는 주택 수
- 취득한 주택이 조정대상지역내에 있는지 여부
과세표준
취득세의 과세표준은 부동산을 매수하면서 신고한 금액을 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단, 신고한 금액이 일반적인 매매가(시가표준액)보다 현저히 적다면 시가표준액이 과세표준이 됩니다.
세율
비 조정대상지역 내 주택 취득 시
구분 | 기존 주택 수 | 과세표준 | 세율 |
주택 매수 | 무주택, 1주택 | 6억 이하 | 1% |
6억 ~ 9억원 | 1% ~ 3% | ||
9억 이상 | 3% | ||
2주택 | 무관 | 8% | |
3주택 이상 | 무관 | 12% | |
주택 외 매수 | 무관 | 무관 | 4% |
상속 | 무관 | 무관 | 2.8% |
증여 | 무관 | 무관 | 3.5% |
신축건물 취득 | 무관 | 무관 | 2.8% |
주택 외 매수란, 주택과 농지를 제외한 토지 또는 상가를 말합니다.
신축건물 취득이란, 재개발/재건축 물건을 갖고있었다가 재개발/재건축이 끝나 신축건물로 받은 경우를 말합니다. 신축 분양을 받은 경우도 포함됩니다.
조정대상지역 내 주택 취득 시
구분 | 기존 주택 수 | 과세표준 | 세율 |
주택 매수 | 무주택 | 6억 이하 | 1% |
6억 ~ 9억원 | 1% ~ 3% | ||
9억 이상 | 3% | ||
1주택 | 무관 | 8% | |
2주택 이상 | 무관 | 12% | |
주택 외 매수 | 무관 | 무관 | 4% |
상속 | 무관 | 무관 | 2.8% |
증여 | 무관 | 3억원 이상 | 12% |
신축건물 취득 | 무관 | 무관 | 2.8% |
예시1
만약 주택을 1채 갖고 있는 사람이 서울 내 조정대상지역의 주택을 6억원에 살 경우
- 과세표준 : 6억원
- 조정대상지역 여부 : 네
- 기존주택 수 : 1주택
이 되어 취득세 8%, 지방세 0.4%가 적용됩니다.
따라서 취득세는 4,800만원, 지방교육세는 240만원이 됩니다.
납부할 세액은 5,040만원입니다. (4,800만원 + 240만원)
예시2
만약 주택을 1채 갖고 있는 사람이 대전에 있는 조정대상지역이 아닌 곳의 주택을 6억원에 살 경우
- 과세표준 : 6억원
- 조정대상지역 여부 : 아니오
- 기존주택 수 : 1주택
이 되어 취득세 1%, 지방세 0.1%가 적용됩니다.
따라서 취득세는 600만원, 지방교육세는 60만원이 됩니다.
납부할 세액은 660만원입니다. (600만원 + 60만원)
4. 납부기한
기준일
매매의 경우 취득세 납부의무 기준일은 부동산 취득일입니다.
부동산 취득일은 잔금이 치뤄지는, 등기부등본 상 등기가 된 날입니다.
증여의 경우 기준일은 계약서 작성한 달의 말일입니다.
상속의 경우 기준일은 상속개시(사망일)한 달의 말일입니다.
기한
매매를 한 경우, 취득세의 납부기한은 기준일로부터 60일 이내입니다.
증여의 경우에는 기준일로부터 3개월입니다.
상속의 경우에는 기준일로부터 6개월입니다.
5. 과태료
무신고 가산세
취득신고 자체를 하지 않은 경우, 내야 하는 세액의 20%의 가산세가 발생합니다.
사기, 부정행위에 의한 무신고 가산세는 40%입니다.
과소신고 가산세
취득신고는 했으나, 취득금액을 적게 신고한 경우에는 내야하는 세액의 10%의 가산세가 발생합니다.
사기, 부정한 의도가 있었다고 판단되면 가산세는 40%입니다.
납부지역 가산세
취득신고는 했으나 세금 납부가 늦어진 경우, 지연일 1일당 0.022%의 가산세가 붙습니다
'부동산 > 세금'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년 재산세 변동 (0) | 2023.05.03 |
---|---|
부동산 양도소득세 정리 (0) | 2023.03.18 |
원천징수세율 80%, 100%, 120% 선택 방법과 연말정산에 유리한 방법 (0) | 2023.02.11 |
임대사업 사업장현황 신고 방법 (주택임대사업자 무관) (0) | 2023.01.28 |
2023년 달라지는 부동산 세금 (0) | 2022.12.22 |
- Total
- Today
- Yesterday
- 재건축
- 재산세
- 어린이집 예방접종증명서 발급
- 전월세상한제
- 재산세 조회
- 명도소송
- 임대차3법
- 계약갱신청구권
- 조정대상지역
- 안심전세앱
- 경매
- 주거급여
- 전세보증금 반환보증보험
- 양도소득세 비과세
- 재개발
- 인도명령
- 분양가상한제
- 사전청약
- 티스토리챌린지
- 전세사기 피해자
- 임대소득세
- 특별보금자리론
- 취득세
- 오블완
- 상가
- 확정일자
- 양도소득세
- 전세사기
- 전세권
- 보금자리론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