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2023년의 재산세가 2020년 대비 29.3% ~ 42.6%, 2022년 대비 8.9 ~ 47% 감소할 것으로 보입니다.
목차
1. 재산세 계산
2. 2023년 공동주택 공시가격 인하
3. 2023년 1주택자 공정시장가액 비율 조정
1. 재산세 계산
재산세는 주택의 공시가격에 공정시장가액비율을 곱한 것을 과세표준으로 삼습니다.
과세표준은 세금을 메길 기준 금액’을 말하고, 세금(재산세)는 과세표준에 세율을 곱해서 나옵니다.
2020.07.31 - [부동산/세금] - 부동산을 갖고 있을 때 내는 세금, 재산세
부동산을 갖고 있을 때 내는 세금, 재산세
부동산을 갖고 있다면, 부동산 보유에 대한 세금이 부과됩니다. 바로 재산세입니다. 재산세란 과세가 되는 재산을 특정일 (6월 1일) 기준으로 소유한 사람에게 과세하는 세금입니다. 부동산은 과
seeparkhouse.tistory.com
재산세율의 변동은 없으니, 공시가격과 공정시장가액비율이 낮아져야 내야 하는 재산세도 낮아지게 됩니다.
2. 2023년 공동주택 공시가격 인하
2023년의 공종주택 공시가격은 집값이 하락한 만큼, 공시가격도 떨어질 것으로 보이지만 얼마만큼 떨어질지는 예상되지 않습니다.
3. 2023년 1주택자 공정시장가액 비율 조정
2023년 1주택자의 공정시장가액 비율은 43 ~ 45%로 설정될 예정입니다.
연도 | 공정시장가액비율 (1주택자) | 공정시장가액비율 (다주택자, 법인) |
09년 ~ 21년 | 60% | 60% |
22년 | 45% (한시적 인하) | |
23년 | 43% (공시가격 3억 이하) 44% (공시가격 6억 이하) 45% (공시가격 6억 초과) |
이런 인하에 따라, 공시가 6억 이상 주택의 경우 재산세 하락폭이 더 클 것으로 보입니다. 공정시장가액비율의 추가 인하는 없으나, 공시가격 상승폭이 컸었기 때문에 올해 큰 폭으로 하락한 공시가격 영향이 있기 때문입니다.
'부동산 > 세금'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결혼자금 증여세 공제 (0) | 2023.08.04 |
---|---|
부동산 양도소득세 정리 (0) | 2023.03.18 |
부동산 취득세 정리 (0) | 2023.03.17 |
원천징수세율 80%, 100%, 120% 선택 방법과 연말정산에 유리한 방법 (0) | 2023.02.11 |
임대사업 사업장현황 신고 방법 (주택임대사업자 무관) (0) | 2023.01.28 |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재산세
- 조정대상지역
- 오블완
- 계약갱신청구권
- 사전청약
- 전세권
- 어린이집 예방접종증명서 발급
- 임대차3법
- 재개발
- 안심전세앱
- 전월세상한제
- 재건축
- 분양가상한제
- 전세사기
- 확정일자
- 재산세 조회
- 전세보증금 반환보증보험
- 임대소득세
- 주거급여
- 티스토리챌린지
- 명도소송
- 양도소득세
- 취득세
- 특별보금자리론
- 인도명령
- 보금자리론
- 양도소득세 비과세
- 상가
- 경매
- 전세사기 피해자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