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주식 차트 분석 기법 중 하나인 지지선과 저항선 분석은 
주식 차트에서 주가가 특정 구간에서 반등하거나 멈추는 경향이 있는 가격대를 파악하여 
매수와 매도 타이밍을 결정하는 데 활용되는 기술적 분석 기법입니다.

 

1. 지지선과 저항선의 의미

지지선

주가가 하락하다가 멈추고 반등하는 경향을 보이는 가격대를 말합니다.
사람들에게 "이 가격 이하로는 잘 떨어지지 않는다"는 심리적, 기술적 신호를 제공하기 때문에 보통 주가 하락 시에 매수세가 많아지는 구간입니다. 


저항선

주가가 상승하다가 멈추고 하락하는 경향을 보이는 가격대를 말합니다.
"이 가격 이상으로는 잘 오르지 않는다"는 심리적 저항이 있어 주가 상승 시 매도세가 강해집니다.

 

2. 지지선과 저항선 활용법

(1) 매수와 매도 전략

주가가 지지선에 근접하면 매수를 합니다.

  • 지지선에서 반등하게 되면 상승 가능성이 높아지므로 진입 기회로 활용하는 것입니다.

주가가 저항선에 근접하면 매도합니다.

  • 저항선을 돌파하지 못하고 하락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매도 시점으로 활용합니다.

(2) 돌파 전략

지지선이 깨질 경우, 주가가 더 큰 하락세를 보일 가능성이 크므로, 매도하거나 추가 하락을 대비해야 합니다.
저항선을 돌파하면 새로운 상승 추세가 형성될 가능성이 크므로, 매수하거나 기존 포지션을 유지합니다.

 

3. 지지선과 저항선 설정 방법

1단계 : 차트에서 주가가 여러 번 반등하거나 멈췄던 가격대를 확인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2단계 : 과거의 고점과 저점을 연결해 지지선과 저항선을 도출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3단계 : 좀 더 고등기술로 이동평균선(MA), 피보나치 되돌림, 추세선 등과 함께 분석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4. 지지선과 저항선의 예시

(1) 예시 차트

A주식의 주가가 10,000원에서 하락할 때마다 멈추고 반등했다면, 10,000원을 지지선으로 합니다.
A주식의 주가가 12,000원에서 상승할 때마다 멈추고 하락했다면, 12,000원을 저항선으로 합니다.

(2) 활용 예시

주가가 10,000원까지 하락한 후 반등하는 흐름이 관찰된다면 지지선 부근에서 매수합니다.
주가가 12,000원까지 상승한 후 하락한다면 저항선 부근에서 매도합니다.

(3) 돌파 예시

주가가 12,000원의 저항선을 강하게 돌파한다면, 새로운 상승 추세가 형성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기존 포지션을 유지하거나 매수 전략을 들어갑니다.
반대로 주가가 10,000원의 지지선을 하락 돌파하면 추가 하락이 예상되므로 손절매를 고려합니다.

 

5. 실전 팁

지지선과 저항선은 시장의 심리적 경계선 역할을 하며, 주식 매매 타이밍을 잡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돌발적인 뉴스나 시장 환경 변화로 인해 이 수준이 무너질 수 있으니, 분석과 리스크 관리를 병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거래량을 확인해야 합니다. 지지선/저항선 돌파 시 거래량이 급증하면 돌파 신호가 강한 것입니다.
  • 이동평균선, 피보나치, MACD 등 다른 기술적 지표와 함께 분석할 수 있도록 준비하면 좋습니다.
  • 10,000원, 20,000원처럼 정수 단위의 심리적으로 안정적인 가격대가 지지선이나 저항선으로 작용하기도 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