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부모님이 돌아가시면 아마 슬플 것입니다. 별로 생각하고 싶지 않네요
또, 내가 죽었을 때 남겨질 가족들을 생각해도 슬플 것입니다.
그런데, 이 슬픔에 엎친데 덮친 격으로 재앙이 다가오는 경우가 있습니다.
상속문제입니다.
상속문제는 크게 2가지로 갈리는데,
첫번째는 상속받을 재산이 너무 커서 이 재산을 노리는 가족, 친지들 간 분쟁이 발생하는 경우입니다. 아마 이 경우에는 피튀기는 법률싸움과 감정싸움이 동반될 것입니다.
두번째는 상속받을 재산보다 채무가 더 큰 경우입니다. 돌아가신 것 만으로도 슬픈데, 그 빚까지 떠안아야 하기 때문에 재앙입니다. 이 재앙으로 파산신청을 하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오늘 쓸 주제는 이 두번째의 사례에서 살아남기 위한 상속절차입니다.
상속을 받는 방법은 크게 3가지입니다.
-
단순승인 : 상속을 받거나
-
상속포기 : 상속을 받지 않거나
-
한정승인 : 일정 한도까지만 상속을 받는 것입니다.
상속은 '피상속인의 사망을 안 지 3개월 이내'에 모든 것을 선택하고 결정지어야 합니다.
즉, 부모님이 돌아가셨다면 그 소식을 접한지 3개월 이내에 단순승인을 할 것인지, 상속포기를 할 것인지, 한정승인을 할 것인지 선택하고 그 신청해야 합니다.
단순승인
단순승인을 받는 것은 쉽습니다. 그냥 상속받은 재산을 쓰면 됩니다. 상속세를 내야 하는 것은 덤입니다.
반대로 상속받은 재산을 쓰는 순간, 상속포기나 한정승인을 할 수 없게됩니다.
상속포기
상속포기를 하려면,
-
피상속인이 사망한 것을 안 지 3개월 이내에
-
가정법원에 가서
-
상속포기 신청을 해야 합니다.
그러면 가정법원에서 상속포기에 대한 판결을 합니다.
판결을 한다는 것은, 재판을 한다는 것입니다.
상속포기 판결이 나면, 당사자는 상속재산을 받지 못하며 채무또한 받지 않습니다.
그리고 이 상속재산은 다음 순위의 상속인에게 가게 됩니다.
만약 후순위 상속인도 상속포기를 하려면, 동일하게 피상속인의 사망을 안 지 3개월 이내에 상속포기를 신청해야 합니다. (상속 순위가 넘어왔다는 사실을 안 날이 아닙니다.)
-
1순위 : 피상속인의 직계비속, 배우자
-
2순위 : 피상속인의 직계존속, 배우자
-
3순위 : 피상속인의 형제자매
-
4순위 : 피상속인의 4촌 이내 혈족
상속인이 가능한 세부 케이스는 이전에 작성한 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상속 (tistory.com)
상속
할아버지가 돌아가셨습니다 할머니가 돌아가시고 상을 치르고, 할머니를 잘 보내주셨습니다 그리고 1년 후, 할아버지는 돌아가셨습니다 생전에 부족하지는 않지만 넉넉하게 사시지도 않았기에
seeparkhouse.tistory.com
한정승인
단순승인을 하기에도, 상속포기를 하기에도 애매할 경우가 있습니다.
이 경우를 위해 한정승인이라는 제도가 있습니다.
한정승인을 하면, 상속 대상에 채무가 있어도 상속으로 물려받은 재산 한도 내에서만 채무를 변제할 수 있습니다.
보기에는 합리적이고 좋아보이는 제도입니다.
그런데 이 한정승인은 절차가 매우 어렵습니다. 이 절차때문에 변호사를 써야 하거나 승인신청을 하는 3개월간 생업을 포기해야 할 정도로 난이도가 높습니다.
한정승인을 하려면,
-
피상속인이 사망한 것을 안 지 3개월 이내에
-
가정법원에 가서
-
한정승인 신청을 해야 합니다. 이 때, 상속받을 재산이 어떤 것들이 있는지 상속인이 모두 파악해서 신청해야 합니다.
이 '상속받을 재산이 어떤 것들이 있는지 상속인이 모두 파악해서 신청'하는 절차가 어렵습니다.
만약 모두 파악을 하지 못하고 한정승인을 신청했을 경우, 한정승인 대상에 포함하지 않은 채무로 인해 손해배상을 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상속인이 상속재산을 일일이 찾아서 파악하는 것은 어렵기 때문에, 국가에서 사망자의 재산조회를 할 수 있는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안심상속원스톱서비스'가 그것입니다.
안심상속원스톱서비스는 정부24 사이트에서 신청 가능하며, 자세한 내용은 이전 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안심상속원스톱서비스 : 상속재산조회 (tistory.com)
안심상속원스톱서비스 : 상속재산조회
상속은 돌아가신 분의 재산을 넘겨받는 것입니다. 상속을 받으면서, 그 상속분에 대한 세금도 납부해야 합니다 사망 후 가족에게 주는 재산에 대한 세금, 상속세 (tistory.com) 사망 후 가족에게 주
seeparkhouse.tistory.com
가족의 사망은 남겨진 가족에게 큰 어려움입니다.
큰 어려움을 겪는 와중에 상속이라는 또다른 어려움을 처음부터 파악해서 진행하려면 어렵기도하고 잘 되지도 않습니다. 모든 것은 어려움이 없을 때 준비해야 합니다.
이번 글은 이런 준비에 대한 글이었습니다.
'금융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인사업자의 차이 (일반과세자와 간이과세자) (0) | 2022.03.07 |
---|---|
법인사업자와 개인사업자의 차이 (0) | 2022.03.05 |
2022년 건강보험료 인상과 계산방법 (1) | 2022.01.17 |
나의 보험 가입내역과 보장내역 확인하기 (2) | 2021.08.10 |
보험의 종류 (0) | 2021.08.08 |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조정대상지역
- 취득세
- 전세사기 피해자
- 임대차3법
- 분양가상한제
- 주거급여
- 전월세상한제
- 확정일자
- 어린이집 예방접종증명서 발급
- 재산세 조회
- 보금자리론
- 양도소득세
- 사전청약
- 인도명령
- 경매
- 임대소득세
- 양도소득세 비과세
- 재건축
- 오블완
- 상가
- 티스토리챌린지
- 재개발
- 재산세
- 전세사기
- 전세보증금 반환보증보험
- 안심전세앱
- 명도소송
- 전세권
- 특별보금자리론
- 계약갱신청구권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