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실이 있어 이를 놀리느니 돌려보자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생각나는 방법은 단기임대나 에어비앤비인데, 단기임대는 애매하니 에어비앤비가 끌립니다. 그래서 에어비앤비를 하려고 해보니, 국내에서 에어비앤비는 불법이라는 얘기가 들립니다. 국내 에어비앤비가 불법이라면 국내에서 에어비앤비 숙소는 있어서는 안되지만, 에어비앤비를 찾아보면 정상적으로 영업을 하고 있는 곳들이 있습니다. 그러면 어떤 곳은 불법이고 어떤 곳은 합법인데 불법인 케이스가 더 알려진 것이 아닐까 하여, 합법적으로 에어비앤비 호스트를 할 수 있는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에어비앤비(숙박업소) 합법운영 요건 1. '외국인 관광객 도시민박업'을 등록해야 합니다. 도시민박업 서류 양식 및 증빙서류를 관할 시‧군‧구청에 제출해서 등록할 수 있습니다. 향후..

가압류가 걸린 부동산도 매매가 가능합니다. 가압류가 걸린 부동산의 경우 일반적인 급매보다 싸게 살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매도자가 가압류가 걸린 부동산을 내놨다는 것은 가압류가 걸린 원인이 되는 채무를 변제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이 부동산의 경우 매도가 되지 않아도 결국 경매신청을 당하게 됩니다. 즉, 매도자 입장에서는 어차피 처분될 부동산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매수자가 좀 더 유리한 입장에서 협상이 가능합니다. 그렇다고 해서 매수자가 아무 생각없이 이런 물건에 접근하면 위험할 수 있습니다. 매수자는 충분한 리스크 대비를 하고 매매에 접근해야 합니다. 가압류된 부동산을 매매하는 것은 위법인가? 결론을 먼저 말씀드리면, 위법은 아닙니다. 매매가 가능합니다. 단, 가압류가 승계될 수 있습니다. ..

이전글, 부자가 되는 단계에서 다섯번째 단계는 '자산에서 소득얻기'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부자가 되는 데에서 자본 소득을 얻는것이 왜 중요한지에 대해 정리합니다. 우리는 종종 이런 생각을 합니다. '분신술을 쓸 수 있으면 내 분신한테 돈 벌어오라고 하고 싶다' 유명한 만화 '나루토'에서는 주인공 나루토가 분신술을 써서 수련을 하는 장면이 나옵니다. 나루토는 빠른 성장을 하기 위해 분신술을 쓰고, 분신들이 각각 여러가지 수련을 하도록 합니다. 분신이 열심히 수련을 하고 돌아오면, 수련한 것들이 나루토 본인의 경험치가 되어 나루토는 급성장을 하게 됩니다. 수련 경험치를 나루토의 시간이 아니라 분신의 시간을 써서 얻는 것입니다. 정말 부러운 일이 아닐 수 없습니다. 결국 부자가 되려면 우리는 자산에서 나오는 ..

이전글, 부자가 되는 단계에서 네번째 단계는 '자산 분배'입니다. 분산투자라고도 하는데, 이번 글에서는 왜 자산을 분배하여 투자해야 하는지에 대해 정리합니다. 배네수엘라의 사례 베네수엘라는 한 때 세계 GDP 4위의 국가였습니다. 베네수엘라, GDP 세계 4위서 중남미 최빈국으로 전락 (youthdaily.co.kr) 베네수엘라, GDP 세계 4위서 중남미 최빈국으로 전락 【 청년일보 】 한때 1인당 국내총생산(GDP) 세계 4위였던 '석유 부국' 베네수엘라가 지속되는 경제난으로 빈국 아이티보다도 가난해졌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베네수엘라 안드레스베요 가톨릭 www.youthdaily.co.kr 하지만 지금 베네수엘라의 GDP는 최빈국 수준으로 떨어져 베네수엘라 가구의 75.8%가 하루 3.2달러(약 ..

이전글, 부자가 되는 단계에서 세번째 단계는 '투자하기'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투자의 중요성과, 자산을 소유하는 것의 중요성에 대해 다룹니다. 투자를 해야 하는 이유 투자를 해야 하는 이유는 간단합니다. 시간이 갈수록 화폐의 가치가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돈을 은행에 보관합니다. 그리고 그에 대한 이자를 받습니다. 이것만 보면 우리는 은행에 넣어놓는 것만으로 내 돈도 지키고, 이자도 받을 수 있으니 괜찮은 것이라 생각합니다. 하지만, 은행은 돈을 불려주는 곳이 아닙니다. 은행은 공공복지를 위해 돈을 맡아주는 곳이 아닙니다. 은행은 이익을 추구하는 사기업입니다. 은행은 고객이 예금한 돈으로 대출을 해주고, 대출이자를 받고, 예금이자를 예금주에게 돌려줍니다. 대출 이자로 벌어들인 돈과 예금이자로 나가는..

이전글, 부자가 되는 단계에서 두번째 단계는 '저축하기'입니다. 단순히 저축을 하는 것이 아니라 '소비를 줄이고 저축'을 해야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왜 소비를 줄이고 저축을 해야 하는지 정리합니다. 내 재산은 늘어나는가? 줄어드는가? 인터넷에 중산층과 서민을 구분짓는 말이 있습니다. 일 안해도 재산이 늘어나면 부자 일 안해도 재산이 그대로면 중산층 일 안하면 재산이 줄어들면 서민 일해도 재산이 줄어들 때 빈곤층 여기서 보통 우리는 소득의 크기가 부자 > 중산층 > 서민 > 빈곤층이라고 생각을 합니다. 하지만 여기서 빠진 것이 있습니다. 부자는 일을 해서 얻는 소득 + 자산에서 얻는 소득이 소비보다 큽니다. 또한 자산에서 얻는 소득만으로도 소비보다 큽니다. 중산층은 일을 해서 얻는 소득 + 자산에서 얻는..

이전글, 부자가 되는 단계에서 첫번째 단계는 '고정소득 얻기'입니다. 고정소득은 다양한 방식으로 얻을 수 있으나, 부자가 아닌 우리들은 대부분의 고정소득을 '근로소득'에서 얻습니다. 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이 '근로소득'의 중요성에 대해 알아봅니다. 자산이 중산층의 기준이 되는 시대 우리는 자산 격차가 벌어지는 시대를 살고 있습니다. 아파트의 가격이 폭등해서 몇 억씩 자산이 늘어난 사람이 있고 코로나로 폭락한 주식을 투자해서 몇 억씩 자산이 늘어난 사람이 있고 암호화폐 투자가 대박이 나서 몇 억 ~ 몇 백억씩 자산이 늘어난 사람도 있습니다. 이렇게 세상에는 자산 부자가 된 사람들이 많아졌습니다. 하지만 반대로, 투자에 대한 준비가 되지 않아 그 어느것에도 투자하지 않고 자산이 제자리인 사람들도 있습니다. ..

부자인 사람들이 책, 유튜브 등에서 말한 부자가 되는 단계가 있습니다. 제가 공부했고, 이제는 실천하고 있는 그 단계들을 정리합니다. 고정소득 저축 투자 자산분배 자산에서 나오는 소득 1. 고정소득 일단 고정적인 소득이 있어야 합니다. 누구나 처음에는 노동을 통해 소득을 얻습니다. 이 고정소득은 직장인으로서 월급을 받는 것일수도 있고 자영업자로서 개인사업 소득일 수도 있습니다. 이런 고정소득이 있어야 이를 기반으로 생활과 저축, 그리고 저축을 기반으로 한 투자활동을 할 수 있습니다. 2. 저축 소득을 잘 저축할 수 있어야 합니다. 소득에서 소비의 비중보다 저축의 비중이 많아야 합니다. 버는 족족 써버린다면, 결국 하루벌어 하루사는 생활이 됩니다. 부자는 하루벌어 하루사는 사람이 아닙니다. 우리는 부자가 ..
투자를 시작했다면, 기대하는 수익이 있을 것입니다. 투자 법칙 중에는 이 기대수익을 계산하는 법칙이 있습니다. 72법칙이라는 것인데, 내가 투자한 원금이 2배가 되는데 걸리는 비용을 계산 하는 것입니다. 이번 글은 이 72법칙을 정리합니다. 72법칙 복리 계산법의 하나입니다 원금을 2배로 만드는게 필요한 시간 또는 수익률을 계산할 때 사용합니다. 계산방법 원금을 2배로 만드는데 필요한 시간 : 72 / 연 수익률 원금을 2배로 만드는데 필요한 수익률 : 72 / 투자기간 연 수익률이 5%일 경우 원금을 2배로 만드는데 필요한 시간 72 / 5 = 14.4년 10년 후에 원금을 2배로 만드는데 필요한 수익률 72 / 10 = 7.2% 실제 투자 수익률 위에서는 연 수익률 5%면 14.4년, 7.2%면 10..

이전 글에서, 금리는 이자율을 뜻한다고 설명하였습니다 금리 (tistory.com) 그런데, 이 금리가 적용되는 방식이 2가지가 있습니다 이 2가지 방식이 단리와 복리입니다 단리 원금에만 이자를 주는 방식 계산식 n년 후 총 이자 = 원금 x 이자율 x n 복리 원금과 현재 쌓인 이자액을 합한 금액에 이자를 주는 방식 계산식 n년 후 총 이자 = 원금 x (1 + 이자율)^n 단리와 복리 원금 100만원에 대하여 이자율이 2%일 때 단리와 복리의 차이 단리 복리 1년 100 + 2 = 102만원 100만원 + 2만원 = 102만원 2년 100 + 2 + 2 = 104만원 102만원 + 2만 400원 = 104만 400원 3년 100 + 2 + 2 + 2 = 106만원 104만 400원 + 2만 808원 ..
- Total
- Today
- Yesterday
- 특별보금자리론
- 경매
- 재산세 조회
- 전세보증금 반환보증보험
- 전세사기 피해자
- 양도소득세 비과세
- 보금자리론
- 안심전세앱
- 취득세
- 임대차3법
- 확정일자
- 재건축
- 조정대상지역
- 전세사기
- 주거급여
- 분양가상한제
- 양도소득세
- 티스토리챌린지
- 재개발
- 사전청약
- 상가
- 전월세상한제
- 명도소송
- 오블완
- 어린이집 예방접종증명서 발급
- 계약갱신청구권
- 재산세
- 인도명령
- 전세권
- 임대소득세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