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2021년 부동산 세금을 다시 한번 정리합니다.
취득세
취득세는 주택을 구매하고 등기할 때 납부합니다.
취득으로 인한 주택 수 | 취득세율 | |
개인 | 1주택 | 6억이하 주택 취득 시 : 1% 6억~9억 주택 취득 시 : 1~3% 9억 초과 주택 취득 시 : 3% |
2주택 | 8% | |
3주택 이상 | 12% | |
법인 | 무관 |
주택수 산정 시 참고사항
- 주택수는 세대 기준입니다.
- 공시지가 1억이하의 주택은 주택수 산정에서 제외됩니다.
- 재개발지정지구 내라면, 공시지가 1억 이하라도 주택수에 포함됩니다.
재산세
재산세는 6월 1일 소유기준으로 부과되며, 7월과 9월에 각각 토지분과 건물분을 납부합니다.
대상 | 분류 | 과세표준 | 재산세율 |
주택 | 일반주택 | 6천만원 이하 | 과세표준액의 0.1% |
6천만원 ~ 1억5천만원 이하 | (과세표준액 - 6천만원)의 0.15% + 6만원 | ||
1억5천만원 ~ 3억원 이하 | (과세표준액 - 1억5천만원)의 0.25% + 19만5천원 | ||
3억원 초과 | (과세표준액 - 3억원)의 0.4% + 57만원 |
재산세 계산은 아래와 같습니다.
- 재산세 = 표준공시가격 X 공정시장가액비율 X 세율
- 지방교육세 = 재산세 X 0.2
- 도시지역분 = 과세표준액 X 0.0014
- 재산세 세액합계 = 재산세 + 지방교육세 + 도시지역분
종합부동산세
종합부동산세는 6월 1일 소유기준으로 부과되며, 12월에 1회 납부합니다.
종합부동산세는 공시지가를 기준으로 산정되며, 공제금액만큼 제외하고 계산합니다.
과세대상 | 공제금액 |
주택 (1세대 1주택) | 9억원 |
주택 (1세대 3주택 이상 / 조정대상지역 2주택이상) | 6억원 |
소유자가 법인인 경우 | 없음 |
종부세율은 아래와 같습니다.
주택시가 총액 | 과세표준 | 2주택 이하 (조정대상지역 제외) 종부세율 |
3주택이상 또는 조정대상지역 내 2주택 종부세율 |
8~12.2억 | 3억 이하 | 0.6% | 1.2% |
12.2~15.4억 | 3~6억 | 0.8% | 1.6% |
15.4~23.3억 | 6~12억 | 1.2% | 2.2% |
23.3~69억 | 12~50억 | 1.6% | 3.6% |
69~123.5억 | 50~94억 | 2.2% | 5.0% |
123.5억 초과 | 94억 초과 | 3.0% | 6.0% |
종부세는 아래와 같은 공제요건이 있습니다.
고령자 | 장기보유 | 고령자+장기보유 합산 | |||||
공제요건 | 60~65세 | 65~70세 | 70세 이상 | 5~10년 | 10~15년 | 15년 이상 | |
공제율 | 20% | 30% | 40% | 20% | 40% | 50% | 최대 80% |
양도소득세
양도소득세는 주택을 매도 하고 납부해야 합니다.
양도소득세는 금액에 따라 분할납부가 가능합니다.
납부 세액 별 구분 | 분할납부 가능한 세액 | 분합납부 기간 |
납부할 세액이 2천만원 이하 | 1천만원을 초과 금액에 대하여 분할납부 가능 | 2개월 이내 분할 납부 |
납부할 세액이 2천만원 초과 | 납부할 세액의 50% 이하에 대하여 분할 납부 가능 | 2개월 이내 분합 납부 |
양도세율은 2021년 6월 이후 바뀌며,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구분 | 2021. 05. 31 까지 | 2021. 06. 01부터 | ||||
주택 / 입주권 | 주택 외 | 분양권 | 주택 / 입주권 | 주택 외 | 분양권 | |
1년 미만 보유 | 50% | 50% | 조정대상지역 : 50 % 기타지역 : 기본세율 +다주택중과 |
70% | 50% | 70% |
2년 미만 보유 | 40% | 40% | 60% | 40% | 60% | |
2년 이상 보유 | 기본세율 +다주택중과 |
기본세율 +다주택중과 |
기본세율 +다주택중과 |
기본세율 +다주택중과 |
||
다주택 중과율 | 조정대상지역 내 2주택 : 10% 조정대상지역 내 3주택 : 20% |
조정대상지역 내 2주택 : 20% 조정대상지역 내 3주택 : 30% |
양도세에 적용되는 기본세율은 아래와 같습니다.
과세표준 | 세율 | 공제금액 |
1,200만원 이하 | 6% | 없음 |
4,600만원 이하 | 15% | 108만원 |
8,800만원 이하 | 24% | 522만원 |
1억 5,000만원 이하 | 35% | 1,490만원 |
3억원 이하 | 38% | 1,940만원 |
5억원 이하 | 40% | 2,540만원 |
5억원 초과 | 42% | 3,540만원 |
10억 초과 | 45% | 6,450만원 |
양도소득세는 아래와 같은 비과세 요건이 있습니다.
- 1세대 1주택 비과세
- 일시적 2주택 비과세
- 결혼으로 인한 일시적 2주택 비과세
- 상속으로 인한 일시적 2주택 비과세
- 증여로 인한 일시적 2주택 비과세
- 부모 봉양을 위한 합가로 인한 일시적 2주택 비과세
양도소득세는 아래와 같은 장기보유 특별공제가 있습니다.
최소 보유기간은 2년입니다.
보유기간 | 4년 이내 | 5년 이내 | 6년 이내 | 7년 이내 | 8년 이내 | 9년 이내 | 10년 이내 | 10년 이상 | |
1주택 | 보유공제 | 12% | 16% | 20% | 24% | 28% | 32% | 36% | 40% |
거주공제 | 12% | 16% | 20% | 24% | 28% | 32% | 36% | 40% | |
공제합계 | 24% | 32% | 40% | 48% | 56% | 64% | 72% | 80% | |
다주택 | 보유공제 | 6% | 8% | 10% | 12% | 14% | 16% | 18% | 20~30% |
각 세금의 상세 설명은 이전 글들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세금별 주택수 계산법
각 부동산 세금 별로 주택 수를 산정하는 기준이 다릅니다. 각 세법에서 산정하는 주택 수 기준은 아래와 같습니다. 세금 구분 세금 주택 수 산정 기준 국세 양도소득세 세대 합산 과세 국세 종
seeparkhouse.tistory.com
부동산을 사게 되면 내는 세금, 취득세 (tistory.com)
부동산을 사게 되면 내는 세금, 취득세
부동산을 사게 되면 취득세를 내게 됩니다. 취득세란 과세가 되는 재산을 새로 취득했을 경우, 취득한 사람에게 과세하는 세금입니다. 부동산은 과세가 되는 재산이기 때문에, 부동산을 취득한
seeparkhouse.tistory.com
부동산을 갖고 있을 때 내는 세금, 재산세 (tistory.com)
부동산을 갖고 있을 때 내는 세금, 재산세
부동산을 갖고 있다면, 부동산 보유에 대한 세금이 부과됩니다. 바로 재산세입니다. 재산세란 과세가 되는 재산을 특정일 (6월 1일) 기준으로 소유한 사람에게 과세하는 세금입니다. 부동산은 과
seeparkhouse.tistory.com
비싼 부동산을 갖고 있을 때 내는 세금, 종합부동산세 (tistory.com)
비싼 부동산을 갖고 있을 때 내는 세금, 종합부동산세
부동산을 갖고 있는 사람들 중, 특정 조건의 부동산을 갖고 있는 사람에게는 재산세 외에도 부과되는 세금이 있습니다. 바로 일정 공시지가 이상의 부동산을 갖고 있는 사람들이 내는 종합부동
seeparkhouse.tistory.com
부동산을 팔고나서 내는 세금, 양도소득세 (tistory.com)
부동산을 팔고나서 내는 세금, 양도소득세
부동산을 팔면 발생하는 세금이 있습니다. 양도소득세입니다. 최근 주택시장 안정화를 위해 세금의 적용 내용이 많이 바뀌었습니다. 때문에 세무사들도 양도소득세 계산이 어렵다고 합니다. 이
seeparkhouse.tistory.com
'부동산 > 세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대소득 종합소득신고 (분리과세) 방법 (0) | 2021.05.07 |
---|---|
증여 후 양도세의 차이를 가르는 5년 (0) | 2021.04.29 |
사망 후 가족에게 주는 재산에 대한 세금, 상속세 (0) | 2020.12.08 |
공시지가 현실화 이후 재산세 변화 (0) | 2020.11.07 |
필요경비 : 양도소득세에서 인정되는 항목 (0) | 2020.10.30 |
- Total
- Today
- Yesterday
- 명도소송
- 확정일자
- 분양가상한제
- 전세사기
- 전세권
- 재산세
- 사전청약
- 보금자리론
- 재산세 조회
- 인도명령
- 오블완
- 전월세상한제
- 상가
- 주거급여
- 양도소득세 비과세
- 재건축
- 계약갱신청구권
- 임대차3법
- 경매
- 조정대상지역
- 안심전세앱
- 전세보증금 반환보증보험
- 전세사기 피해자
- 취득세
- 재개발
- 특별보금자리론
- 양도소득세
- 임대소득세
- 티스토리챌린지
- 어린이집 예방접종증명서 발급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